티스토리 뷰

일반 칼럼/詩想과 세상

극 1980

opinionX 2021. 9. 27. 09:49

일러스트_김상민 기자

이번 극은

극과 극입니다

사랑할 수 없는 사람들이

내가 그린 원으로

비집고 들어와

손도 씻지 않고 잠이 들고요

우연이 모래를 의미가 맹물을

삼키고 잡아먹힙니다

그렇게 있잖아요 우리

사십 년 후에도

잠깐 놓아둘 때조차 소름이 돋아서

정확히 보려 하면

정확히 갈라집니다

서춘희(1980~)

아무리 가까운 사람에게도 털어놓을 수 없는, “나에게만 말할 수 있”(‘부추’)는 비밀을 간직한 사람의 가슴은 얼마나 답답하고 억울할까. 어릴 땐 침묵을 강요당하고, 겨우 감당할 수 있는 나이가 됐을 땐 스스로 함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면…. 살면서 다 드러낼 수는 없지만, 언제까지 감추며 살 수도 없다. 세상에 비밀은 없다는 말은 유효하다. 직접 폭로할 수 없을 때 우회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그것마저 조심스러워 문장을 감추고, 비트는 것이 시다.

1980년은 시인이 태어난 해이므로 이번 생은 극(劇)이면서 극(極)이다. “내가 그린 원”은 나만의 절대 영역으로 내 허락 없이 누구도 들어올 수 없는 세계이지만, 강제로 “비집고 들어와/ 손도 씻지 않”은 채 잠드는 사람들이 있다. 그들을 몰아내야 하지만, 푹푹 발이 빠지는 모래에 파묻혀 맹물같이 지내다가 “사십 년”이란 세월이 흘러버렸다. “잠깐 놓아둘 때조차 소름이 돋”는데, 어찌 사십 년을 견뎠을까. 안타까운 건 현재까지도 상황이 이어진다는 것이다.

김정수 시인

'일반 칼럼 > 詩想과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  (0) 2021.10.12
백색의 얼굴  (0) 2021.10.05
송편  (0) 2021.09.13
가을비  (0) 2021.09.06
마음 가는 길  (0) 2021.08.30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