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일제강점기 독립운동 하면 서울의 효창공원이 생각난다. 그런데 왜 ‘효창공원’이라는 이름을 지금껏 사용할까. 그 유래는 일제강점기에 일제가 조선 사적 격하를 위해 공원법을 제정했으며, 왕궁의 묘를 강제 이장했고, 당시 효창원을 효창공원으로 개칭한 것이다. 참으로 비운의 사적지로 유서 깊은 곳이다.

광복 이후엔 임시정부 백범 김구 주석을 이곳에 안장했다. 이후 의열사 7인, 삼의사, 임정요인 묘역으로 유골을 모시거나 가묘와 영정을 모셔서 독립유공인들의 정신을 후손들에게 이어가는 성스러운 곳이 됐다. 이분들이 계셨기에 조국이 있고 대한민국이 존재하는 것이다.

하지만 예우 면에서 홀대한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서울 동작동 국립현충원의 규모 등과 비교해봐도 그렇다.

대한민국 헌법 전문엔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과 정통성을 이어간다고 돼 있다. 임시정부는 1919년 4월11월 수립과 동시에 3권분립의 민주공화정부를 선포했다. 이후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이 국내외에서 활약하다 목숨을 잃었다. 하지만 광복 이후 독립유공인들의 명예 회복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데다 영면한 공간의 이름조차 예우하지 않아 안타깝다.

그래서 우선 명칭부터 ‘독립유공인 국립현충원’으로 승격할 것을 정부에 제안한다. 둘째,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 지난 지금이라도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독립을 위해 목숨을 바친 분들의 묘지를 한곳에 모으고, 유공인들의 흔적이 없으면 가묘라도 만들어 예우해 드리는 ‘묘지 조성’을 제안한다. 만약 유해를 모셔오는 게 어렵다면 새로운 형태의 작은 ‘납골 국립묘지’를 제안한다. 셋째, 전 세계 독립유공인들의 묘지도 이곳에서 안내할 것을 제안한다. 즉 한국의 미래지향적 정보기술(IT)을 접목한 증강현실을 도입, 인물별 독립 활동 내력과 약력을 전시하고 당시 활동들을 체험해 보는 ‘독립유공인 전시관 건립’이 필요하다. 효창공원의 위상을 국립묘지로 승격해 독립을 위해 목숨을 바친 공도자들을 예우해 드리는 게 후손의 도리이며 국가가 해야 할 몫이다.

<전자균 원불교 은평교당 교무>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