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그래픽 이아름 기자

화장실에 들어갔다가 나와 남자 화장실인지 재차 확인했다. 화장실 안에 무료 생리대 바구니가 있어서였다. 이번 학기를 시작하면서 코넬대엔 여성 화장실은 물론 남자 화장실에도 무료 생리대가 비치됐다. 성정의옹호연합(GJAC)이라는 아이비리그 학생단체가 이 운동을 주관한다. 이들은 “월경하는 모든 사람이 꼭 여성은 아니므로 가능한 한 공평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모든 화장실에 제품을 비치하고 싶었다”고 밝혔다. 생리기본권과 성평등을 동시에 내세우는 것이다.

‘생리 빈곤’이란 생리 기간에 적절한 생리용품을 살 수 없거나, 이용할 수 없는 상태를 일컫는다. 영국의 2017년 통계에 의하면 영국 소녀의 10~15%가 생리용품을 구매할 수 없거나, 구매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선진국에서조차 일부 여성들은 아직도 신문지나 헌 옷으로 생리용품을 대체한다고 한다. 2016년 ‘신발 깔창 생리대’ 보도는 한국의 취약계층 소녀들의 참담한 실상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여성들의 생리용품 구매비용은 평생 약 200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정부는 현재 만 11~18세 저소득층 여성 청소년들에게 연간 최대 13만2000원을 생리대 비용으로 지원하고 있지만 넉넉지 않은 금액이다. 서울·여주 등 일부 지자체들은 공공기관 화장실에 비상용 생리대를 비치하고 있으나, 소규모에 그친다.

스코틀랜드는 2018년 모든 학교에 생리용품을 비치하도록 의무화했다. 또 2020년 11월 세계 최초로 생리용품을 무료로 제공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2016년 노동당 모니카 레넌 의원이 생리 빈곤 퇴치라는 캠페인을 벌인 지 5년 만에 얻은 결실이다.

한국 정부는 최근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안을 발표했다. 기본 방향은 ‘생애 주기에 따른 삶의 권리를 보장받는 것’이지만 주로 임신과 출생 전후에 초점이 맞춰져 있을 뿐 가임 여성에 대한 배려는 빠졌다.

이제는 국가가 나서야 한다. 생리 빈곤 퇴출이야말로 저출산·고령사회 극복의 시초가 될 것이다. 생리대를 무상 지급하라.

엄치용 미국 코넬대 연구원


 

오피니언 최신기사 - 경향신문

경향신문 > 오피니언 > 최신기사 [강준만의 화이부동]‘어용 언론’을 요구하는 문파들께 저는 이 지면을 통해 이런저런 세상 이야기를 허심탄회하게 해보고 싶습니다. 오늘은 문재인 대통령의

news.khan.co.kr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