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의 외연 확장 행보가 거침없다. 박정희의 고속도로, 박태준의 포항제철은 물론 전두환의 삼저호황까지 주저하지 않고 불러낸다. 중도층의 지지를 끌어내기 위해서다. 이에 대해, 민망하고 어지러워 속이 울렁거린다는 사람도 있고, 아무리 그래도 전두환까지 호명해야 하나라는 비난도 있다. 그러나 이재명으로서는 절박한 모양이다. 역사 문제뿐만 아니라 여러 정책에서도 중도 성향 유권자에 대한 구애를 서슴지 않는다.
중도지지 기반을 얻으려는 전략이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의 열쇠가 되는 것은 스윙보터 때문이다. 한때 ‘기회주의적’ 유권자로 불렸으나 지금은 ‘까다로운’ 유권자라고 하는 존재다. 이들은 분명한 소신이 있으며 사안별로 꼼꼼하게 따지며 지지 여부를 결정하는 자기 주도적 참여자이다. 이 까다로운 중도 유권자를 자기편으로 만들려면 진영논리로 몰아붙여서는 안 된다. ‘밀어붙이기’는, 피아 구분을 분명히 하면서 뜨거운 이슈로 전선을 달구고, 상대편이 틀렸고 올바르지 않다고 하며 자신들을 선택하지 않으면 역사적 잘못을 저지르는 것이라고 윽박지르는 전략을 말한다. 그런데 까다로운 중도 유권자들에게는 이런 전략이 통하지 않는다. 밀어붙이기 전략이 아니라 ‘껴안기 전략’이 필요하다.
2012년 대통령 선거에서 박근혜 후보는 자신을 선뜻 지지하지 않는 중도 유권자들에게 다가갔다. 경제민주화와 생애주기 복지 정책을 발표한 것은 그러한 전략의 일환이었다. 전선을 뜨겁게 하는 것이 아니라 전선을 허물면서 침투하는 전략을 썼다. 그 방편으로 마지막에 그가 한 “아버지를 내려놓겠다”라는 말은 두고두고 화제였다.
이런 점에서 지금 이재명의 고민은 짐작할 만하다. 민주당 후보 경선 과정에서 그는 강력한 진영논리로 밀어붙이기 선거 전략을 추진했는데 본선 경쟁에서는 중도 지지자들에게 다가가기 위해 껴안기 전략으로 선회를 하려고 한다. 그런데 문제는 너무나 많은 의제에 중도화의 뜻을 담아 발표를 하다 보니 이재명 후보에 대해 말 바꾸기, 신뢰성 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사실 중도의 지지를 얻기 위해 껴안기 전략을 추진하려면 자질구레한 다수의 중도 과제를 제시하기보다는 수용성이 높은, 큼직한 몇 가지 과제를 던지면서 관심과 논의를 불러일으키는 것이 더 좋다. 며칠 전 국민의힘 김종인이 지나가듯 슬쩍 내놓은 ‘협치’ 제안과 같은 것이 좋은 사례다. 대통령 선거가 끝나면 승리한 쪽이 독식하지 말고 경쟁 정당과 공동정부를 만들어 협력하자는 말이다. 후보인 윤석열은 이에 호응하지 않았다. 그는 선거가 끝나면 보자고 했다. 국민의힘에서는 이 의제가 불발이 되어버린 셈이다.
그런데 ‘협치’ 의제는 중도 성향의 유권자들에게 수용성이 엄청나게 큰 위력을 가진 로켓이다. 다 아는 바와 같이 까다로운 중도 유권자들이 진저리를 내는 것이 진영 싸움이다. ‘너의 불행이 나의 행복’이라는 정치사회의 이분법적 틀이 정치발전을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것이 우리 정치를 비극으로 만드는 근원이라고 까다로운 중도 유권자들은 생각하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중도지지 기반을 만드는데 ‘협치’만큼 큰 영향력을 가진 의제가 있을지 모르겠다고 하는 것이다.
이재명에게 권하고 싶다. 불발이 된 ‘협치’ 로켓을 잘 손질하여 다시 불을 붙여 보기 바란다. 민주당의 이재명이 승리하여 대통령이 되면 경쟁 정당과 권력을 공유하면서 공동정부를 구성하고 ‘협치’를 제도화하는 규범을 만들겠다는 공약을 발표하면 어떨까? 이재명이 윤석열을 설득하여 ‘협치’를 공동 공약으로 합의하는 모습도 괜찮겠다. 그렇게 하면 온 국민이 기뻐 춤을 출 것이다. 협치는 이명박, 박근혜도 약속을 했으나 못했고 문재인도 실현하지 못했다. 윤석열이 ‘협치’ 의제에 계속 어리바리하면 이재명 혼자라도 ‘협치’ 의제를 추진하는 것이 좋겠다. 김종인이 이 의제에 저작권을 가진 건 아닐 터, 이재명이 주도하면 이재명의 것이 되지 않을까 싶다.
‘협치’는 까다로운 중도 유권자들이 환호하는 과제이며 시대정신이라 해도 좋을 정도로 우리 정치에 절실한 가치다. ‘협치’를 잘하여 독점, 독선, 독재의 정치가 아니라 협력과 상생의 정치를 구현하면 사회경제적 양극화를 비롯한 시대적 과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재명은 박정희, 박태준, 전두환을 호명하면서 과거 쟁점 기반 중도화 전략을 추진하지 말고 ‘협치’를 제안하여 미래 쟁점 기반 중도화 전략을 추진하기 바란다. 그렇게 해서 새로운 정치의 시대를 열면 좋겠다.
김태일 장안대 총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