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지난 13일 정부는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과 연계한 ‘지역균형 뉴딜’의 필요성과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지난 7월 발표된 ‘한국판 뉴딜’의 주요 내용이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사회안전망 강화라면, 이번 지역균형 뉴딜은 기존의 한국판 뉴딜 사업을 지역기반으로 확장시키는 개념이다.
이번 발표에 포함된 사업 중 하나가 한국교통안전공단과 화성시가 수행 중인 ‘자율주행 테스트베드 조성’이다.
자율주행차란 ‘운전자 없이 스스로 운행하는 차’이다. 자율주행차는 난이도에 따라 0~5단계로 나뉘는데, 일반적으로 3단계 이상이 돼야 제한된 조건에서 스스로 운전하는 차량이 된다. 매년 자율주행 기술 순위를 조사·발표하는 내비건트리서치에 따르면 2035년엔 자동차 시장의 75%가 자율주행차로 대체될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 4대 중 3대가 스스로 운행하는 시대가 온다는 뜻이다. 3단계 수준의 자동차는 이미 개발되고 있다. 지난 7월 한국은 세계 최초로 3단계에 해당하는 부분자율주행자동차를 제작하고 판매할 수 있도록 안전기준을 시행했다.
‘자율주행 테스트베드 조성’은 화성시의 교통시스템 등 인프라를 활용해 자율주행차 기술 개발과 테스트, 실증이 함께 이뤄지는 생태계를 만드는 것이다. 앞으로 발전할 4단계의 자율주행차는 고속도로가 아닌 도심도로에서 주행이 가능해야 진정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도심도로는 복잡한 인프라와 보행자가 혼재돼 있어 도로나 교통시설물 등 인프라와 차량 간의 협력주행 기술이 요구된다.
계획대로라면 2021년 하반기엔 자율주행차로 실제 도로에서 달려볼 수 있다. 인프라와 접목된 자율주행차의 기술 개발은 안전성 향상과 산업 발전에 촉진제 역할을 할 것이다. 차량 기술이 고도화되면 고령이나 신체 장애로 운전할 수 없었던 사람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운전자 부주의로 인해 발생했던 사고들도 예방할 수 있다. 이번 지역균형 뉴딜 사업이 결실을 맺어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되고, 우리의 자율주행 기술로 교통사고 없는 ‘안전한 대한민국’이 되는 그날을 기대해 본다.
<권병윤 한국교통안전공단 이사장>
'일반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와 세상]‘기재부공화국’ (0) | 2020.10.29 |
---|---|
[송민령의 뇌과학 이야기]이야기를 지어내는 뇌 (0) | 2020.10.29 |
[노명우의 여행으로 쓴다]몽테뉴의 여행법 (0) | 2020.10.28 |
[경제직필]WTO 사무총장 도전의 가치 (0) | 2020.10.28 |
[공감]LG맨, 삼성맨, 구글맨 (0) | 2020.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