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우리는 어느 민족보다도 핏줄을 중요시한다. 그런 까닭에 우리말에는 가족 혹은 친척 간의 호칭이 발달해 있다. 그러나 현대 들어 대가족이 핵가족화해 어른들로부터 언어예절을 배우지 못한 탓인지 호칭을 잘못 쓰는 일이 많다.
한 예로, 젊은 새댁이 시아버지를 ‘시아빠’로 부르거나 남편을 ‘오빠’로 호칭해 어르신들의 얼굴을 뜨겁게 만드는 일도 종종 벌어진다.
물론 격식을 갖추지 않아도 되는 상황에서 자신의 ‘아버지’를 ‘아빠’로 부르는 것은 이제 일상이 됐다. 국립국어원도 이런 흐름을 인정해 2011년 ‘표준 언어예절’을 새로 발간하면서, 그동안 유아들만 쓰는 말로 다루던 ‘아빠’를 성인도 쓸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며느리와 시부모는 친(親)보다는 예(禮)를 앞세우는 사이로, ‘시아빠’나 ‘시엄마’로 부를 수 없는 것이 우리의 언어예절이다. 남편을 ‘오빠’로 부르는 것 역시 우리의 언어예절에서는 있을 수 없다.
한편 자신의 장인·장모를 ‘빙장어른’과 ‘빙모님’으로 부르는 이들도 있는데, ‘빙장’과 ‘빙모’는 “남의 장인·장모를 이르는 말”이다.
<엄민용 스포츠산업팀장>
'일반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어린이 질환’·n차 감염 속 추가 개학을 보는 불안한 시선 (0) | 2020.05.27 |
---|---|
[박래군 칼럼]그럼에도 시민운동을 멈춰선 안 된다 (0) | 2020.05.26 |
[김민아 칼럼]‘강간 문화’ 간과하는 법관들에게 (0) | 2020.05.26 |
[사설]코로나19 ‘전시상황’ 극복하려면 재정역량 총동원해야 (0) | 2020.05.26 |
[천운영의 명랑한 뒷맛]나의 미니멀 라이프 (0) | 2020.05.25 |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