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5월25일 밝힌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관리 기본계획(안)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33년간이나 끌어왔던 우리나라 고준위 방폐물의 관리처분정책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지금까지는 원전시설 안에 있는 수조에 저장 보관 중이지만 2019년 월성 원전 시설부터 포화 예정인 긴박한 상황에서 나온 정부안이라 주목을 받는다. 한국과 핀란드의 사용후 핵연료 관리 계획 비교, 원전별 사용후 핵연료 임시저장고 포화율 고준위 방폐물을 한데 모아 안전하게 관리하려면 여러 제약조건으로 우리 현실에서 선택할 방안은 영구처분, 한길밖에 없다. 이번 정부안도 영구처분시설 건설을 위한 지하연구시설과 그 브리지로서의 중간저장시설을 한데 묶되, 국제 공동저장시설의 활용 여부도 함께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고준위에 비해 상대적으..
원자력발전소에서 타고 나온 부산물로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인 사용후 핵연료의 저장용량 부족 문제가 국내 원자력 발전의 목을 조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이 문제 해결을 위한 사용후 핵연료 공론화위원회의 권고안이 지난 11일 발표됐다. 사용후 핵연료는 그 속에 담겨있는 독성 방사성 물질인 플루토늄 등 초우라늄 원소들과 핵분열 생성물이 바깥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또 재처리나 심지층 처분 전까지 적어도 40~50년 이상 지상에서 안전하게 저장돼야 한다. 흔히 일반인은 기존의 한·미 원자력협정에 의해 금지되어온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를 국내에서 수행하면 사용후 핵연료의 저장용량 부족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준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