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코로나19 확산으로 생겨난 대표적인 신조어가 ‘언택트’다. 언택트는 접촉을 뜻하는 ‘contact’에 부정을 뜻하는 ‘un’을 넣어 만든 신조어로, 문법에 맞지 않는 영어식 합성어다. 언택트에서 한발 더 나아간 ‘온택트’는 콘택트에 온라인을 뜻하는 ‘on’을 넣어 만든 단어다. 코로나19 스트레스로 우울감을 호소하는 ‘코로나 블루’, 세계적으로 감염병이 대유행하는 상태를 지칭하는 ‘팬데믹’ 등 다양하다.

언택트’는 ‘비대면’으로, ‘온택트’는 ‘영상·화상 대면’으로, ‘코로나 블루’는 ‘코로나 우울’로, ‘팬데믹’은 ‘세계적 유행’으로 대체돼야 할 것이다.

‘랜선’도 최근에 만들어진 신조어다. 랜선은 온라인을 통한 만남을 의미하는데, 영어 ‘LAN’과 한자어 ‘線’이 혼용된 국적불명의 엉터리 단어다. 이처럼 국적조차 애매하고 어법에도 맞지 않는 말들이 남발되고 있다. 인터넷을 비롯해 각종 방송 등 다양한 매체에서는 지금도 억지로 끼워맞춘 무분별한 외래어가 범람하고 있다. 심지어 본보기가 돼야 할 국가 행정기관에서도 엉터리 외래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더러 있다.

전문가들도 코로나19 관련 용어가 건강·질병과 관련된 것인 만큼 국민들이 정보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쉬운 우리말로 대체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한다. 국적불명의 언어들 때문에 우리말이 설 자리를 완전히 잃어버릴 수 있겠다는 걱정은 비단 나만의 기우일까. 잘못된 언어 사용이 우리말의 건전한 발전을 가로막는 걸림돌이 된다는 점을 우리 모두 자각할 수 있기를 바란다.

김동석 직업상담사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