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아이들의 통과의례 가운데 하나가 자전거 타기다. 세 발, 네 발 자전거만 타던 아이가 보기에, 두 바퀴 위에 앉아 넘어지지 않는 것은 너무도 어렵고 불가능해 보이기까지 한 능력이다. 나 역시 처음 두 발을 땅에서 떼고 페달을 밟는 순간이 얼마나 두려웠는지 다시 떠올리며 아이들에게 말했다. “아무리 자전거를 잘 타는 사람도 선 채로 균형을 잡을 순 없어. 일단 밟아!”

일러스트_김상민 기자

판문점 회동을 보며 여러 생각이 교차했다. 깜짝쇼를 연출하며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굳히려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상황에 따라 표변하며 백척간두의 줄타기를 이어가는 김정은 국무위원장, 그 사이에서 한발 물러서 중재자 역할을 자임하는 문재인 대통령. 예기치 못했던 역사적 전개에 감격하는가 하면, 실제 성과도 없고 외교 주권을 행사하지 못하고 있다며 개탄하기도 한다. 그중 색깔론에 의지해 온 이들이 미국을 바라보는 시선은 허망하다. 종북 세력은 필시 반미주의자이고 한·미 공조 강화는 대북 강경대응으로 이어져야 마땅한데, 이해할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정치적 판단이나 역사적 평가는 차치하더라도, 이전에 옳다고 여겼던 관점만으로 더 이상 설명하기 힘든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점은 분명하다.

나아가지 않으면 후퇴하는 것이라고 했다. 물결을 거슬러 오르는 것과 같은 학문의 여정에서 가만히 있으면 뒤로 떠내려갈 수밖에 없음을 경계하는 말로 많이 사용되지만, 더 이른 출처는 나날이 새로워지지 않고서는 올바른 정치를 할 수 없음을 강조한 내용이다. 자신이 떠내려가고 있다는 사실조차 모른 채 어느 땐가 옳았던 시각이 영원히 옳으리라 생각한다면 그야말로 각주구검의 어리석음에 빠진 셈이다. 이에 관한 한 정치적 입장이 보수든 진보든 마찬가지다.

냉정하게 바라보며 꼬장꼬장 비판할 일이 있고, 비틀거리더라도 마음 모아 밀어 주어야 할 일이 있다. 이 땅에 평화를 정착시키고 언젠가 겨레가 하나 되는 꿈을 이루어가는 길에는 엄청난 난관이 산적해 있다. 위태로울 뿐 아니라 불가능해 보이기까지 하다. 하지만 조심스레 그러나 과감하게 두 발을 동시에 페달에 올리고 구르는 순간이 없다면, 그 길에 영영 오를 수 없을 것이다. 출발선에 선 채로 아무리 균형을 잡아보려 한들 아무 의미도 없다. 균형은 달려야 잡힌다.

<송혁기 |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일반 칼럼 > 송혁기의 책상물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장을 면하려면  (0) 2019.07.31
혁신을 위해 필요한 것  (0) 2019.07.17
미꾸라지와 원숭이  (0) 2019.06.19
없어도 되는 것  (0) 2019.06.05
영예를 누릴 수 있으려면  (0) 2019.05.22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