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충남 딸기연구소에서 개발한 ‘설향’ 품종은 중앙과 지역 농업 간 연구·개발(R&D) 협업의 중요성을 일깨운 성공사례다. 2005년 9.2%에 불과했던 국산 딸기 품종의 점유율은 2018년 94.5%로 높아졌다. 수출액도 2005년 440만달러에서 2018년 4800만달러로 10배 이상 증가했다. 농촌진흥청을 주축으로 지방 농촌진흥기관과 대학이 협력해 고품질 재배기술을 개발하고 재배환경과 재배법을 표준화한 덕분이다. 저장 및 유통 방법 개선도 주효했다.

농촌진흥청이 지역특화작목을 육성한 것은 1991년부터다. 지역거점별로 농업 인구 인프라를 구축해 연계기술을 확보하고 산학연 협력으로 개발한 기술을 농업 경영체에 보급했다. 그 결과 사업 참여 농가의 소득 증가율이 2017년 21.8%를 기록했다. 일반 농가의 소득 증가율 3.0%와 비교하면 7배에 달한다.

지난해 정부는 지방분권·균형발전이라는 핵심 국정과제 실현 방안으로 지역의 자율성을 중시하고 경쟁력과 경제 활력을 높여야 한다고 밝혔다. 지역밀착형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지역이 주도하는 R&D 강화방안도 발표했다. 이런 흐름에서 볼 때 지역 특성을 살리고 경쟁력을 갖춘 지역특화작목을 개발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지역특화작목 산업이 활성화되면 농업의 새로운 발전과 성장을 견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올해 7월9일 ‘지역특화작목 연구·개발 및 육성에 관한 법률’(약칭 지역특화작목법)이 시행됐다. 기존 R&D 지원 사업은 규모도 작은 데다 산발적으로 투입되어 지역사회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데 한계를 보였다. 이 법은 농산업 부가가치를 높일 지역농업 발전 강화전략을 수립하여 지역특화작목을 육성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담고 있다.

그동안 지역농업 R&D 지원에 관한 근거가 미약했는데, 이 법의 시행으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가 강화됐다. 보다 안정적인 연구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 셈이다. 지역농업 R&D를 통해 개발된 기술을 보급하고 사업화하는 것은 물론 유통과 수출까지 그 지원 범위가 확대됐다. 특히 시·군 농업기술센터에 대한 지원 근거가 마련됐다. 농업인, 농산업체 등 민간이 참여해 현장 밀착형으로 함께 연구할 수 있도록 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농업인의 소득이 향상되고 지역 내 고용기회가 늘 것으로 기대된다. 결국 국민들이 다양하고 품질 좋은 농산물을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넓어질 것이다.

최근 한국도 농업정책 전반에 국내외 변화에 대응하며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새로운 전략을 요구받고 있다. 우리 농업도 획일적인 생산 위주의 농업에서 다양한 가치를 추구하는 경쟁력 있는 농업으로 나아가고 있다. 지역특화농업의 발전이 지역 공동체의 이익을 창출하며 중앙과 지역 상생 발전에 기여하는 토대가 될 것이다.

<황규석 | 농촌진흥청 차장>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