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초겨울 아침 서해 앞바다에서 낚싯배가 침몰해 13명이 숨지는 안타까운 해상 안전사고가 발생했다. 3일 오전 6시9분쯤 인천 영흥도 영흥대교 인근 해상에서 승객 20명과 선원 2명 등 22명이 타고 있던 낚시 어선 ‘선창 1호’가 급유선과 충돌한 뒤 전복돼 13명이 숨지고 2명이 실종됐다. 낚싯배 사고로는 2015년 돌고래호 전복 사고 이후 가장 많은 인명피해를 낸 사고였다.

해경은 두 선박이 영흥대교 교각 사이의 좁은 수로를 통과하려다가 충돌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사고 접수 33분 만에 해경 헬기와 경비정 등이 속속 현지에 도착해 구조에 나섰지만 현지 해역의 물살이 강하고 겨울철 수온이 차가웠던 것이 인명피해를 키운 것으로 보인다. 선창 1호는 정원 규정을 초과하지 않았고, 출항신고 절차도 정상적으로 받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3일 오전 인천 옹진군 영흥면 진두항에서 구조대원들이 이날 오전 영흥대교 인근 해상에서 발생한 낚싯배 전복 사고로 인한 희생자를 이송하고 있다. 연합뉴스

휴일 아침 전해진 해상사고 소식에 3년 전에 발생한 세월호 사고 당시 정부의 늑장대응으로 295명이 희생된 악몽을 떠올리는 이들도 적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이날 문재인 대통령과 정부의 사고 대응은 예전과 달랐다. 문 대통령은 사고신고 접수 52분 만인 오전 7시1분 청와대 위기관리비서관으로부터 첫 보고를 받고 “구조작전에 최선을 다할 것”을 지시했다. 1차 보고까지 시간이 다소 걸린 것은 위기관리센터가 정확한 사고 현황을 파악하고 문 대통령에게 보고할 사안인지 판단하는 데 시간이 걸렸기 때문이라고 청와대가 설명했다. 오전 9시25분에는 청와대 위기관리센터를 찾아 해경·행정안전부 등으로부터 화상보고를 받았고, 실종자들의 해상표류 가능성에 대비해 항공기·헬기 등을 총동원해 광역 항공수색을 철저히 하라고 지시하는 등 구조작업을 진두지휘했다. 문재인 정부는 포항 지진 때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연기하고, 인도네시아 발리 아궁 화산의 분화로 공항이 폐쇄되면서 한국인 관광객이 고립되자 특별 전세기를 띄워 귀국시키는 등 안전을 위해 노력했다.

다만, 배가 출항한 지 몇분 안돼 사고가 났고 곧바로 신고했는데도 해경이 33분 만에 사고 현장에 도착한 점을 보면 대응이 신속했다고 평가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정원 초과도 아니고 구명조끼도 입었는데 왜 사망·실종자가 많았는지도 이해하기 어렵다. 안전상의 문제점이 없었는지 철저하게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정부는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 선창 1호 전복 사고의 실종자 수색을 비롯한 사고 수습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그것만이 국가가 ‘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를 위해 항상 신속하게 행동하고 최선을 다하리라는 믿음을 시민들에게 주는 길이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