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첫 행보로 현충원을 찾아 ‘새로운 변화와 개혁의 시대를 열겠습니다’라고 방명록에 적었다. 그리고 이승만 전 대통령과 선친인 박정희, 김대중 전 대통령의 묘역을 참배했다. 새누리당 당사에서 발표한 대국민 인사에서는 “저에 대한 찬반을 떠나 국민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또 “과거 반세기 동안 극한 분열과 갈등을 빚어 왔던 역사의 고리를 화해와 대탕평책으로 끊도록 노력하겠다”면서 지역과 성별, 세대를 초월한 ‘100% 대한민국’ 건설을 다짐했다.


박 당선인의 승리는 헌정 사상 첫 여성 대통령의 탄생이라는 외형적 평가 외에 1971년 대선 이후 과반 득표율을 올린 첫 당선인, 호남에서 두 자릿수(10.4%) 지지를 얻어낸 첫 보수 후보 등의 성과들을 거뒀다. 자신의 역량으로 4·11 총선에 이어 대선까지 승리해 행정부와 의회를 장악하는 개가도 올렸다. 이처럼 보수 세력을 똘똘 뭉치게 하면서 중도·부동층까지 흡인해낸 원동력은 ‘정치인 박근혜’의 위력이라고 봐도 손색이 없을 터이다. 반면 90%에 근접한 투표율을 보인 50대와 60대의 압도적 지지에도 불구, 2030 세대의 지지율은 상대에게 크게 밑도는 세대 갈등을 노정했다. 51.55%의 과반 확보라는 기록의 반대편에는 역시 과반에 가까운 48.02%의 반대 세력이 존재한다는 것도 엄연한 사실이다. 그런 맥락에서 볼 때 박 당선인의 일성 ‘대탕평’은 세대 갈등과 지역 편차, 절반의 낙담 등을 제대로 아우른 인식의 소산이라고 평가할 만하다.


문제는 ‘어떻게’ 실천하느냐에 달렸다. 박 당선인이 언급한 대탕평이나 화해, 공생으로 요약되는 국민대통합은 말만이 아니라 반대표를 던진 이들이 온몸으로 절규하는 바를 찾아 해결하는 데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박 당선인의 표현대로 ‘의견 수렴’만으로 그친다면 안하느니만 못하다. 경제민주화만 해도 박 당선인이 복지, 대통합과 같은 기존 야권의 가치를 선점하는 바람에 중도와 보수·우파의 결집을 이뤄내는 견인차 역할을 한 것은 사실이나 정작 실천 의지를 보여주지 못해 진정성에 의심을 받고 있는 처지다. 신뢰와 원칙의 정치인으로 각인된 박 당선인에게 신뢰의 상실은 곧 리더십의 위기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제 각론이 필요하다. 대통합의 중요성을 모르거나 반대하는 이는 없다. 중요한 것은 실천 방식과 내용이다. 당장 서둘러야 할 일이 있다. 서울과 호남을 비롯해 박 당선인에게 마음을 주지 않은 지역과 계층을 어떻게 껴안을지 고민하고,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그것이 현 단계에서 가시적 효과를 거두면서 의지도 곧추세우는 방안이다. 박 당선인을 반대한 이들의 마음을 돌리는 것은 쉽지 않겠지만 가야만 하는 길이다. 성공적 국정운영은 새 정부 출범 후 6개월에 달려 있고, 그 6개월의 성패를 가늠하는 것은 2개월에 가까운 인수위 활동이다. 조만간 윤곽을 드러낼 인수위 구성에서부터 대탕평 구상이 펼쳐지길 기대한다.


손흔드는 박근혜 (경향신문DB)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