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철수 무소속 대선 후보가 어제 “40년 동안 꼼짝도 않는 투표시간을 이제 국민이 바꿔달라”고 말했다. 안 후보 측은 이를 관철하기 위해 ‘투표시간 연장 국민행동 출범식’을 갖고 인터넷 온라인 등을 통해 캠페인을 벌여나가기로 했다.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도 “선진국은 투표시간(마감)이 밤 10시인 나라도 많다”며 연장론을 재차 거론했다. 문·안 두 후보가 공동 대응에 나서면서 투표시간 연장 문제가 대선 이슈로 부상하는 양상이다.


다소 색다른 안 후보의 접근법을 주목하고자 한다. 안 후보는 투표시간 연장을 국민들의 헌법적 권리 차원으로 보고 있다. “(국민은) 국민청원법에 의거해 정부에 투표시간 연장을 공식적으로 요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투표시간 연장을 정치 쇄신의 차원으로 부각시켜 새누리당의 거부 논리를 격파하겠다는 셈법이 엿보인다. 더 나아가 안 후보 측으로선 자신들이 설파한 바 있는 ‘무소속 대통령론’의 효력을 실험할 수 있는 기회라는 점에서 그냥 해보는 소리로 그칠 것 같지 않다. 유일한 현역인 송호창 의원을 국민행동 단장에 임명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읽힌다.


선거일은 유급휴일로 하자 (출처: 경향DB)


문제는 요지부동인 새누리당의 태도다. ‘투표일이 공휴일이니 연장하지 않아도 된다’거나 ‘관리·운영의 문제가 있고, 사회적 비용이 증가한다’는 등의 이유를 접지 않고 있다. 속마음은 다르다. 이주영 선대위 특보단장은 “전략이 관계된 문제”라 했고, 한 핵심 관계자는 “(야당이) 젊은층의 투표율을 자극하기 위해 전략상 계속 언급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새누리당이 투표시간 연장에 선거의 유불리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는 관측을 자인한 것이다. 그렇다면 젊은층의 투표율이 올라가면 안된다는 논리인데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가 ‘100%의 대한민국’을 외치는 상황에서 앞뒤가 맞는 얘기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박근혜 후보는 여전히 침묵하고 있다. 박 후보가 찬성하든 반대하든 그것은 정책적 선택에 속하는 문제로 치부할 수도 있다. 지금껏 방치하다 이제야 카드를 빼든 야당의 책임도 가볍지 않다. 야당 역시 정략적이라는 비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다만, 한 가지는 분명히 밝혀두고자 한다. 투표율 상승을, 특히 젊은이와 비정규직 등 사회·경제적 약자들의 투표율 상승을 두려워하는 정당과 후보는 정치혁신과 민주주의 발전을 말할 자격이 없다. 더구나 재·보선 투표시간은 이미 오후 6시에서 8시까지로 2시간 늘어났다는 점을 감안하면 투표시간 연장을 반대하는 논리는 그 어떤 이유로도 납득하기 어렵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