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정부가 세월호 선체를 인양하기로 결정했다. 국민안전처 등 17개 부처가 참여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총 15차례 회의 끝에 해양수산부가 제출한 선체 인양 결정안을 어제 원안대로 확정했다. 박인용 국민안전처 장관은 “불확실성은 있지만 가족과 국민의 여망에 따라 인양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지 1년여, 인양 문제가 본격 논의된 지 6개월여 만에 내려진 결정이다. 늦어도 너무 늦었지만 세월호 가족과 국민의 뜻을 끝내 저버리지 않은 것은 그나마 다행스럽고 평가할 만하다.

세월호 선체 인양은 실종자 수습을 위해 마땅히 해야 할 일이다. 그것은 비용 문제를 넘어 국가의 존재 이유에 해당한다. 중대본이 선체를 절단하거나 바로 세우지 않고 누운 상태에서 통째로 인양하는 방안을 수용한 것도 무엇보다 실종자 유실·훼손 우려를 최소화하려는 의도에서다. 해수부 민관 합동 태스크포스는 4개월여 연구 끝에 선체 측면에 93개의 구멍을 뚫어 와이어를 연결해 두 대의 해상크레인으로 그대로 들어올린 뒤 수심 30m 지점으로 이동해 플로팅 독에 선체를 올려 부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했다. 외부 전문가들도 “기술적으로는 성공 가능하다”고 의견을 모았다고 하니 기대가 된다.

정부가 세월호 인양을 공식적으로 결정하였다. (출처 : 경향DB)


실종자 수습과 함께 선체 인양의 또 하나 중요한 이유는 사고 원인 규명이다. 여기에는 인양 일정이 주요 변수로 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해수부는 인양 업체 선정 후 세부 인양설계와 준비작업을 병행하면 9월부터 현장작업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해상작업에는 12~18개월이 걸릴 것이라고 한다. 너무 늦어지면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의 활동 기간을 넘길 수 있다. 특조위 이석태 위원장의 말처럼 인양 자체도 중요하지만 실제로 특조위에서 조사할 수 있는 시간이 확보되는 것이 필요하다. 선체 인양 시기를 앞당기든가 최장 1년6개월로 못박은 특조위 활동 기간을 연장하는 문제를 논의해야 할지도 모른다.

맹골수도처럼 조류가 거센 해역에서 화물을 포함해 1만t에 이르는 선박을 통째로 인양하는 것은 세계적으로 전례 없는 도전이다. 빠른 유속과 혼탁한 시야에서 잠수사의 수중작업이 쉽지 않고 인양점이 파괴되거나 와이어가 끊어지는 등 2차 사고의 위험도 상존한다. 그런 가운데 실종자 9명 수습에 최대한 역점을 두고, 특조위 활동 기간 안에 가능한 한 빨리, 그리고 무엇보다 절대 안전하게 세월호를 인양해야 하는 과제를 정부가 지게 됐다. 세월호 선체 인양에서는 관련 부처와 컨트롤타워가 한 치의 빈틈도 없이 제 역할을 다해 세월호 참사 때의 실패를 조금이나마 만회하는 모습을 보여주기 바랄 뿐이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