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1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도 난이도 조절 실패와 출제오류 논란이 재연되고 있다. 수학B 과목은 1등급 하한점수가 100점이어서 한 문제만 틀려도 2등급으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돼 이과를 중심으로 ‘물수능 논란’이 일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는 물론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출제한 지난 6·9월 모의평가와 비교해서도 큰 차이가 나는 점수다. 국어B 과목도 1등급 하한점수가 작년보다 5점가량 떨어졌지만 일선 교육현장이 혼란스러워하기는 마찬가지다. 이런 수능에서는 학력 외에 운이나 실수가 성적을 결정할 가능성이 높다. 실수할 경우 만회할 시간이나 기회도 주어지지 않는다. 이러니 대학수학능력 측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게 뻔하다. 이런 시험 결과에 순순히 승복할 수험생은 많지 않을 것이다.

교육 현장에서는 이미 혼란이 벌어지고 있다. 정시모집 응시 전략을 세웠던 수험생들이 황급히 수시모집으로 갈아타고 있는 것이다. 수시를 대비한 논술학원이 붐비고 있다는 소리도 들린다. 정시모집에서는 더 큰 혼란이 예상된다고 한다. 수능이 변별력을 잃으면서 이른바 ‘눈치작전’이 활개칠 것이기 때문이다. 학력이 아니라 전략이 대입의 성패를 가르는 일이 올해도 되풀이되고 있는 것이다. 교육당국은 사교육을 잡겠다며 ‘쉬운 수능’ 기조를 고수하고 있지만 난이도 조절 실패가 정책 효과로 이어지고 있다. 이런 악순환을 막으려면 근본적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시간과 비용이 들겠지만 수능으로 인한 엄청난 파장을 감안하면 여기에 사회적 자원 투입을 아낄 이유가 없다. 근본 대책은 대입 제도 개선과 연계해 추진해야 한다. 실질적 정책효과를 거두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한편으로는 당국의 책임성을 강화해야 한다. 매년 난이도 조절에 실패하면서도 얼렁뚱땅 넘어가는 태도로는 어떤 개선도 기대할 수 없다. 책임자는 직을 건다는 각오를 보여야 할 것이다.

14일 서울 서초동 서초고등학교에서 고3 학생들이 전날 치른 대학수학능력시험 가채점을 하고 있다. (출처 : 경향DB)


수능 출제오류 논란이 재연된 것도 교육당국의 책임성과 역량에 다시금 의문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생명과학Ⅱ 과목에 복수의 정답이 있다는 이번 문제 제기도 당국이 아니라 수험생들에게서 나왔다. 세계지리 출제오류 사태 이후 철저하게 문제를 검토했다더니 도대체 뭘 했다는 얘기인지 답답하기 이를 데 없다. 이번에는 수험생 가슴에 못을 박고 교육현장을 혼란에 빠뜨리는 행태를 반복해선 안된다. 당국은 신속하게 진실을 규명하고 사후 처리를 해야 한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