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오사카는 일본 제2의 도시로 임진왜란을 일으킨 도요토미 히데요시 시절엔 수도였다. 교민이 많다보니 한국총영사관도 일본에서 가장 크고, 총영사 자리를 두고 이따금 구설이 일었다. 김석기 자유한국당 의원의 ‘보은인사’ 논란이 대표적이다. 이명박 정부가 ‘용산참사’로 물러난 데 대해 보상 차원에서 자리를 줬다는 것이다. 그는 이후 재임 8개월 만에 총선에 출마하겠다며 후임도 정해지기 전에 귀국해 또다시 비판여론의 당사자가 됐다.
해외공관장 자리를 정권 창출의 보상수단으로 삼지 않은 정권은 거의 없다. 박근혜 정권 때의 전대주 베트남 대사는 교민에게 “내가 왜 여기 대사로 임명됐는지 나도 의아하다”고 말했다. 나중에 전 전 대사는 최순실씨 조카의 베트남 유치원 사업을 도와준 인물로 알려졌다. 압권은 이명박 정부였다. 정권 교체 후 1기 재외 공관장 인사에 선거캠프에서 활동하던 5명을 포함시켰다. 역대 최다 기록이었다.
김경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6일 국회에서 댓글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권호욱 선임기자
이 가운데 미국 시민권자도 있었다. 이웅길 미국 애틀랜타 총영사 내정자는 내정 직후에야 국적회복 절차를 밟다가 여론의 질타를 견디지 못하고 사퇴했다. 선거캠프 해외팀장 출신으로 LA총영사가 된 김재수씨는 이 전 대통령의 회사로 드러난 다스가 BBK에 투자한 140억원을 돌려받는 데 공을 세웠다. 이 때문에 그를 총영사로 임명한 것은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였다는 관측이 나왔다.
오사카 총영사가 다시 여론의 중심에 섰다. 정부·여당을 비난하는 댓글조작으로 구속된 김모씨(필명 드루킹)가 김경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오사카 총영사 인사청탁을 했다가 거절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인터넷 카페 ‘경제적 공진화 모임’ 운영자인 김씨는 일본이 침몰할 것이며, 자신이 오사카 총영사로 부임해 이에 대비해야 한다는 황당한 믿음의 소유자로 알려졌다. 일본 침몰 시 일본 피난민들을 개성공단에 이주시켜야 하며 그 일을 자신과 카페 회원이 주도해야 한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야당에서는 김씨가 문재인 정권 창출에 어떤 공을 세웠기에 그 같은 청탁을 할 수 있었느냐며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진실은 밝혀지겠지만 이 정부에서도 오사카 총영사를 둘러싼 보은인사 논란이 제기되는 것 자체가 꺼림하다.
<조호연 논설위원>
'정치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이참에 정치권의 잘못된 관행과 제도 전면 손질해야 (0) | 2018.04.18 |
---|---|
[학교의 안과 밖]문재인 정부의 떠넘기기 교육정책 (0) | 2018.04.17 |
[장은주의 정치시평]진보, 왜 자유민주주의를 두려워하나 (0) | 2018.04.17 |
[사설]김기식 사태에서 청와대가 배워야 할 것 (0) | 2018.04.17 |
[사설]여론조작 뿌리 뽑는 사이버 정화 운동을 (0) | 2018.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