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 비정규직 문제, 정말 심각하다고 봅니다. OECD에서도 한국의 비정규직 비율이 너무 높아서 줄이라고 권고한 적이 있습니다. 현대차 공장에 가보면 동일한 장소에서 동일한 양의 노동을 합니다. 소나타가 지나가면 양쪽에서 바퀴를 붙이는데 조끼 색깔이 다릅니다. 한쪽은 다른 한쪽 임금의 절반을 받습니다. 비정규직은 비정규직하고만 결혼하고 정규직은 정규직하고만 결혼한다고 합니다. 신분이 되고 있는 거죠. 공장지역의 유치원, 유아원에서 비정규직 노동자의 아이와 정규직 노동자의 아이가 따로 노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어요. 실제 있는 일입니다.
이걸 해결하지 못하면 사회통합은 없습니다. 모든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바꾸는 것은 쉽지 않다고 봅니다. 정규직으로 한꺼번에 다 옮겨지면 신규채용이 불가능하지 않겠어요. 그러면 아버지, 삼촌 세대는 정규직이 되도 아이세대는 정규직이 안되고 한참 기다려야 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북유럽도 모두 정규직 신분 보장이 되는 것은 아니고 임금이 같은 것입니다. 각종 복지시설이나 보너스는 없죠. 그래도 노예제 같은 문제가 해결되기 떄문에 우리도 빨리 법을개정해야 한다. 내년 4월 총선에서 무상급식, 무상의료 같은 ‘3무 정책’ 외에 노동법 개정을 무조건 넣어야 한다고 봅니다. 비정규직 문제 해결 없이는 복지가 없습니다. 노동이 있는 복지로 가야 합니다. 진보진영이 4월 총선에서 다수파가 된다면 노동법을 개정해야 합니다.
제가 재정 전문가는 아니지만 복지 하려면 돈이 필요하죠. 돈을 마련하려면 세금을 증세하는 것인데, 모든 시민은 증세를 싫어하고 복지는 많이 받길 원합니다. 당연한 인간의 본성이죠. 증세를 먼저 얘기하면 조세 저항에 부딪쳐서 안뽑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북유럽도 그랬습니다. 이 국가들은 일단, 현재 가능한 세금을 재정개혁으로 확보해서 여러 복지 정책 중 하나를 확 실현해버립니다. 그런 다음 국민들에게 내가 낸 세금으로 좋은 일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게 한 뒤에 다음 단계의 복지를 하려면 세금을 몇 % 올려야 한다고 얘기하는 겁니다. 증세할 때는 (세율을) 위쪽(소득이 높은 쪽)을 높게 아래쪽은 작게 해야겠죠.
선대인씨의 <프리라이더>라는 책을 보면 증세하지 않아도 현재 재정구조로 몇조원의 돈이 남는지 입증한 것이 있습니다. 복지를 반대하는 사람들은 현재 상태에서도 재정개혁을 안하겠다는 얘기라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