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선근형·이호준기자 ssun@kyunghyang.com
ㆍ진보 21명중 20명·중도 51명중 33명 “청와대”
ㆍ보수는 19명중 13명이 “진보적 시민단체”
한국 사회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기관의 서열이 아니다. 경향신문의 설문에 응답한 100명의 지식인이 뽑은 ‘우리 사회의 소통을 가로막고 있는 조직’의 순서다.
소통을 가로막고 있는 조직으로 가장 많이 지목된 기관은 청와대로 나타났다. 100명의 지식인으로부터 1인당 3개씩 복수응답을 받은 결과, 청와대를 지목한 지식인은 60명으로 나타나 가장 높은 응답률을 기록했다. 한나라당과 정부를 꼽은 지식인도 각각 24명, 16명이었다. 이같이 ‘당·정·청’이 전체 300개의 응답 중 100개를 받아 여권이 우리 사회의 소통을 가로막는 ‘주범’으로 꼽혔다.
또 진보적 시민단체(26명), 민주노총·민주당(각각 23명), 진보정당(13명) 등 진보성향의 기관들도 총 85개의 응답을 얻어 ‘소통 방해 조직’으로 지목됐다. 보수언론(44명), 진보언론(18명) 등 언론도 우리 사회의 불통을 초래하는 기관으로 꼽혔다. 이 밖에 보수적 시민단체(14명), 검찰·법원(9명), 삼성그룹 등 대기업(7명) 등도 소통을 가로막는 기관의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하지만 지식인의 성향에 따라 설문결과가 극명하게 엇갈렸다. 진보 성향의 지식인 21명 중 20명이 청와대를 꼽았지만 보수 성향의 지식인은 19명 중 단 4명만이 청와대를 지목했다. 중도 성향의 지식인들은 51명 중 33명이 청와대를 소통을 가로막는 조직으로 뽑았다.
반면 민주노총·진보적 시민단체·민주당·진보정당·진보언론 등 진보 성향의 기관에 대해서는 결과가 상반됐다. 보수 지식인 19명 중 진보적 시민단체를 꼽은 지식인은 13명으로 나타났으며 민주노총 11명, 민주당 8명, 진보정당·진보언론 각각 3명 등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진보 지식인 21명 중 진보 기관을 지목한 응답은 진보언론 2명이 전부였다. 중도 지식인 51명은 진보적 시민단체 12명, 민주당 11명, 진보언론 10명, 진보정당 7명 등의 분포를 보였다.
성공회대 김수행 석좌교수(경제학)는 “청와대와 정부, 보수언론이 모두 한 패가 돼서 부자들의 기득권만을 지키기 위해 부자들을 위한 정책만 쏟아내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서울시립대 윤창현 교수(경제학)는 “민주노총 등 진보 단체들과 대화해서 성공했다는 말을 들어본 적이 없다. 그들 단체들은 비판 목소리에는 전혀 귀 기울이지 않는다”고 밝혔다.
소통을 위한 법원·검찰의 올바른 역할을 주문하는 목소리도 잇따랐다. 연세대 박명림 교수(정치학)는 “공정한 법적 판단이 소통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하지만 대한민국 검찰은 소통을 차단하는 역할만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양대 하승우 연구교수(정치학)도 “최고의 엘리트로 구성돼 있는 사법부는 소통하려 하기보다는 강제하려든다”고 지적했다.
ⓒ 경향신문 & 경향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지난 칼럼===== > 한국, 소통합시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소통합시다③](3) 소통과 불통 사이-나를 말한다 소통 1위 박원순 (2) | 2009.07.05 |
---|---|
[한국, 소통합시다②]“우리 언론이 소통을 말할 자격 있나” (0) | 2009.07.02 |
[한국, 소통합시다②]불통은 ‘관용 없는’ 승자 독식주의의 산물 (0) | 2009.07.02 |
[한국, 소통합시다②]이념성향 기초 100인 선정…과학적 분석 시도 (0) | 2009.07.02 |
[한국, 소통합시다②] 누가 소통을 가로 막는가 (0) | 2009.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