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용품에서 라돈의 건강위험 공포가 끊이질 않는다. 세계에서 유례가 없는 가습기 살균제 참사를 겪었지만 정부 대응은 달라진 게 없다. 대진침대 매트리스, 까사미아 매트 등에 이어 입주 아파트 실내에서도 방사성물질인 라돈이 허용기준을 훨씬 넘는 수준으로 검출되었지만 정부의 체계적인 대응이 없다. 의도적으로 방사성물질을 섞어서 만든 제품, 시설 등에서 라돈이 발생되고 있다. 라돈 발생 생활제품이나 시설물 전수조사, 노출 또는 사용 규모 파악 및 건강위험 추적 등 누구나 쉽게 생각할 수 있는 대책조차 볼 수가 없다. 라돈이 일으키는 폐암 등 치명적인 건강위험과 어린아이, 노인, 환자, 임산부 등 민감 집단을 포함한 상당수 시민들의 과다한 라돈 노출 가능성을 고려할 때 이해할 수 없다. 라돈은 흡연 다음으로 폐..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지난달 10일 대진침대에서 검출된 라돈이 기준치 이내라고 발표했다가 5일 만에 기준치를 훨씬 웃돈다는 측정 결과를 발표한 것에 대하여 여론의 뭇매를 맞았고 총리는 “라돈 허용기준치 발표 번복과 관련하여 정부가 국민의 불안을 가중시켰다”며 사과했다. 그러나 국민이 사실 불안해한 것은 ‘방사능 측정치의 번복’이라기보다는 ‘방사능 측정치가 기준치를 훨씬 웃돈다는 것’일 것이다. 라돈침대 피해자가 10만명을 넘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는데, 정부는 이런 참사를 막을 수 없었을까? 후쿠시마 사고 이후 제정되어 2012년 7월부터 시행된 ‘생활주변 방사선 안전관리법’(생방법)에 따라 가공제품에 의한 일반인의 피폭방사선량은 연간 1m㏜(밀리시버트)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이때 1m㏜는 외부피폭선량과..
폐암을 유발하는 라돈의 원인 제공 물질인 모나자이트를 대진침대보다 많이 구입한 업체가 3곳 더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권칠승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원자력위원회(원안위)에서 입수한 자료를 보면 모나자이트 수입업체 1곳이 2013~2018년 4월까지 66개 업체에 모나자이트 4만657.5㎏을 판매했다. 이 중 1만2000㎏을 구입한 1곳은 대진침대(2960㎏)보다 4배가량 많았다. 4180㎏과 3720㎏을 사들인 2곳도 대진침대의 구입량을 웃돌았다. 연도에 따라 수백~1000㎏씩을 사들인 업체도 18곳에 달했다. 모나자이트는 혈액순환과 신진대사 촉진에 좋다는 음이온을 뿜어낸다 해서 건강보조제품의 재료로 쓰인 천연광석이다. 공기청정기와 팔찌, 목걸이, 매트, 침대, 베개, 보디크림, 마사지팩, 안대, 생리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