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지, 로미, 조쉬, 마리, 미란다, 레오…. 오늘로 사무실 점거 농성 9일째를 맞은 마인드프리즘 노조 조합원들의 별명이다. 9일 전 ‘이음’이라는 내 별명도 더해졌다. 비록 직원은 아니지만, 마인드프리즘 노조 명예조합원이 된 것. ‘엄마’라는 별명도 하나 더 얻게 됐다. 농성장에 밥을 지어 나르고, 소소한 살림살이를 챙기고 있어서다. 마인드프리즘 문제를 처음 알게 된 건, 지난해 말 이 회사에 노조가 만들어지면서다. 조합원들을 통해 알게 된 마인드프리즘 상황은 익히 알고 있던 이 회사의 모습과는 사뭇 달랐다. 심리치유기업 ‘마인드프리즘’은 일반기업이면서도 감정노동자, NGO 활동가들의 심리치유를 비롯해 5·18광주민중항쟁 피해자, 고문 피해자들의 트라우마 치유프로그램 등 사회 환원 활동도 지원해왔다. ..
‘마인드프리즘’의 갑작스런 폐업결정은 이해하기 어렵다. 합리적이지 않은 일들이 많이 벌어지는 한국사회이고, 해고 노동자의 마음치유를 내세웠어도 설립자의 말처럼 주식회사일 뿐이니 폐업이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그런데 여러 과정을 거치면서 어렵게 합의안이 마련되고, 노동자들이 주식을 가지는 회사로 전환되고 난 뒤에 폐업 결정이 내려졌다는 점은 쉽게 이해하기 어렵다. 지금 상황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면 어렵사리 자기 회사를 가지게 된 노동자들이 내부 반대를 무릅쓰고 회사를 닫겠다는 것 아닌가. (그동안의 정황은 마인드프리즘 노동조합의 블로그를 참고) 보통은 억지로라도 닫힌 문을 열고 회사를 살리려는 게 노동자의 심리인데, 마인드프리즘에서는 열린 회사문을 닫고 스스로 폐업하겠다는 기이한 결정이 내려졌다. 무엇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