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그대로 지리멸렬이다. 130석의 거대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이 ‘정당’이라고 운위하기에도 낯뜨거운 난맥을 드러내고 있다. 박영선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세월호특별법 1·2차 협상 실패에 이어 비대위원장 영입 과정에서 리더십 빈곤을 여지없이 드러냈다. 유족들과의 기본적 공감도 없이 세월호특별법을 합의해주는 패착을 연거푸 저지른 것도 모자라, 정체성 논란을 야기할 게 뻔한 비대위원장 영입을 독단으로 결정해 밀어붙이려다 좌초했다. ‘나쁜 결과’에 대한 책임을 놓고도 ‘박영선 탄핵’과 박 위원장의 ‘탈당 불사’가 파열하는 막가는 상황을 연출하고 있다. 사태를 이 지경에 이르게 한 일차적 책임은 박 위원장에게 있다. 박 위원장은 결국에는 번복된 두 차례의 세월호특별법 합의, 비대위원장 영입 추진을 통해 본..
검찰이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5명에 대해 무더기 구속영장을 청구했지만 야당 의원 2명은 영장이 기각됐다. 이번 수사는 박근혜 정부 출범 후 검찰의 첫 사정수사라는 점에서 여론의 관심을 끌었다. 검찰은 현역 의원을 상대로 구인장까지 발부받아 구속 수사에 자신감을 보였지만 결국 망신살을 뻗친 격이다. 애초 궁지에 몰린 검찰의 국면전환용이라거나 여야 균형 맞추기를 위한 표적사정 아니냐는 등 뒷말이 많았던 점을 감안하면 더욱 참담한 결과다. 이것이 김진태 검찰의 현주소라면 실망스럽기 그지없다. 말이 사정수사이지 여야 의원들의 비리 혐의는 확연히 구분된다. 새누리당 박상은·조현룡 의원은 전형적인 개인 비리다. 그간 수사를 통해 범죄 혐의가 상당부분 소명됐다. 박 의원은 세월호 사고와 관련해 불법 정치자금..
세월호와 박근혜 정부의 인사 참사를 고려할 때 질 수 없는 선거를 새정치민주연합은 또다시 죽을 쑤고 말았다. 지난 칼럼 “차라리 지역구를 없애자”(7월21일자)에서 지적했듯이 당 지도부가 현 정부의 인사 이상으로 한심한 공천을 했으니, 당연한 결과이다. 이 칼럼에서 비판했듯이 거물 정치인이라는 이유로 지역구와 전혀 연고도 없는 손학규, 김두관을 공천했다가 지역일꾼론을 내세운 새누리당의 토박이 신인들에게 전패한 것은 지도부가 얼마나 민심을 모르는가를 잘 보여주고 있다. 특히 언론이 지적했듯이 이 모두가 자신들의 경쟁자가 될 특정 정치인을 배제하려는 정략에서 시작했다니 한심하다. 전혀 연고도 없는 지역에 손학규, 김두관을 공천하면서 비슷한 중진인 정동영, 천정배에게는 왜 공천을 주지 않았는가? 주목할 것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