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내내 한반도는 뿌연 먼지를 뒤집어썼다. 전국 대부분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단위 ㎍/㎥)는 ‘나쁨’ 기준치인 80을 넘었다. 세종시는 한때 142였다. 몇 걸음을 걷다 보면 목이 따끔거리고 눈이 침침해졌다. 이런 날들이 이제 ‘일상’이 됐다. 한반도에서 점점 더 숨쉬기가 어려워지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미세먼지 ‘나쁨’ 일수는 서울이 61일, 전국적으로는 300일이 넘었다. 미세먼지가 ‘사시사철 불청객’이 된 것이다. 한국의 미세먼지 농도는 이미 전 세계 최악이다. 2017년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는 25.1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았다. 한때 ‘나는 새도 죽음으로 몰았다’는 멕시코시티보다도 나쁘다. 미세먼지는 1군 발암물질로 사망률을 높이고, 생명을 단축시킨다. 폐렴·폐암은 물..
수명이 다한 원전은 순차적으로 폐기하자. 원자력·석탄화력 대신 LNG·재생에너지 비중을 늘리자. 산업용 전기요금을 올리자. 지역별로 요금을 다르게 하자. 송전소·송전탑을 세울 때는 주민 의견을 철저하게 수렴하자. 대기업의 자가발전을 늘리자. 경향신문이 녹색당과 공동으로 제안한 ‘에너지 전환을 위한 10대 제언’ 내용이다. 경향신문이 지난달 20일부터 7차례에 걸쳐 심층보도한 기획시리즈 ‘전기중독사회를 넘어서’가 내린 결론이라고 할 수도 있다. 화석에너지에 기반을 둔 중앙집중식 에너지 시스템에서 재생에너지 확대 등을 통한 분산적 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은 기후변화와 에너지 자원 고갈 위기를 겪고 있는 전 세계의 과제다. 한국의 에너지 정책과 그에 따른 에너지 소비 행태는 이러한 국제사회의 흐름과 정반대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