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직후부터 이어지고 있는 새 정부의 괄목할 행보에 대다수 국민들이 환호하고 있다. 자고 일어나니 갑자기 세상이 변한 것 같아 다소 당혹스럽기까지 한 이 변화는 지난겨울 우리가 치켜든 촛불의 성과다. 촛불광장이 없었다면 지금쯤 대한민국은 어떤 상태였을까? 국정농단은 현재진행형이었을 것이고 세월호는 아직 차디찬 진도 앞바다에 잠겨 있었을 것이며, 희망을 잃은 사람들은 끊임없이 고공으로 올라가고 있었을 것이다. 광장에서 우리가 몸으로 터득한 교훈은 ‘군중이 역사를 바꿀 수 있다’는 교과서적 진리다. 누구나 당위로 받아들이는 명제지만, 인류 역사를 통틀어도 이것을 몸으로 겪은 세대는 그리 많지 않다. 벅찬 행운이다. 그러나 환호와 감격에 머무르고 있을 수는 없다. 마무리를 해야 한다. 광장의 촛불이 추구해온..
수년 전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일할 때다. “그들이 온다!”고 하면 비상이 걸렸다. 인권위 건물을 점거무대로 삼은 장애인들이었다. 칼날 같은 주장과 거친 몸싸움에 엘리베이터를 점거하고 밤샘농성도 불사했다. 왜 저럴까? 조용하고 침착한 목소리가 더 호소력이 있지 않을까? 과격하면 거부감만 더 커진다는 것을 왜 모를까? 그런 선입견이 작동하면 그들의 울부짖음의 내용은 잘 들리지 않게 된다. 나중에 하나하나 살펴보니 구구절절 옳지 않은 주장이 없었다. “장애인도 공부하고 싶다.” “제발 지하철 타고 다닐 수 있도록 하라.” “규율이 지배하는 시설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주체적으로 살고 싶다.” “우리도 사람이다. 1급, 2급으로 등급 매기지 마라.” 주장은 과격하지 않았다. 사람답게 살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최소한의..
요즘 새롭게 시민의 힘, 참여의 힘을 느낀다. 지난 9월20일 한겨레신문이 ‘최순실’이란 이름을 거명하기 시작하면서, 보다 직접적으로 지난 10월24일 JTBC가 최순실씨의 태블릿 PC에 관한 보도로 국정개입 사건의 전모를 알리기 시작하면서부터 우리나라는 유례없는 격랑에 휩싸여 버렸다. 바로 그 주 주말인 10월29일부터 헌법유린과 국정농단의 실체를 밝히라며, 박근혜 대통령은 물러나라며 시민들의 자발적 촛불집회가 열리기 시작했다. 12월3일 한국 역사상 가장 많은 수인 232만명이 참여한 6차 집회에 이르기까지 지금 우리 시민들은 역사를 새롭게 써내려가고 있다. 광장을 가득 채운, 시민들의 평화롭지만 도도한 분노가 우리 사회를 바꿔나가고 있다. 광장에서 만난 많은 이들은 말한다. 머릿수 하나라도 채우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