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구하면 얻을 수 있고 버려두면 잃게 되는 것들이 있다. 사랑, 정의, 지혜 같은 내면의 가치들이다. 이런 것은 구하면 구할수록 유익하지만 당장 드러나지 않는다고 버려두면 영영 그 길과는 다른 삶을 살게 된다. 반면에 구할 때 그것이 정당한지 늘 되물어야 하고 얻는 데에 집착해서는 안되는 것들이 있다. 재력, 지위, 명망처럼 남들이 볼 때 나를 규정하는 외면의 가치들이다. 맹자의 말이다.
일러스트_ 김상민 기자
18세기 조선의 문인 황경원은 어느 날 아침, 그 전날 시행된 과거시험에 왜 응시하지 않았냐는 지인의 핀잔을 들었다.
몸이 아파서 그랬다고 얼버무리고 말았지만 뭔가 숨기는 것 같은 찜찜함에 해명의 편지를 쓴다. 그 이전 시험에는 정말 몸이 아파 응시하지 못했는데, 그 시험을 관장한 대제학 이덕수가 자신을 천거할 생각이었다는 말을 전해 들었다. 이 사실을 아는 주변 사람들은 이번 시험도 이덕수가 관장하는데 병도 나았으니 좋은 기회라며 응시를 권했다. 그러나 이것이 바로 황경원이 응시하지 않은 이유였다.
황경원은 이덕수와 개인적인 친분이 전혀 없는 사이였다. 황경원의 문장을 읽어본 이덕수가 그 재능을 인정하여 높은 자리에 천거할 뜻을 가지게 된 것뿐이다. 황경원이 청탁을 한 것도 아니고 이덕수가 부정하게 천거하려는 것도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황경원은, 결정권을 쥔 상대가 자신을 천거하려 한다는 사실을 알고도 응시하는 것 자체가 떳떳하지 않다고 여겼다. 과거시험은 내면이 아니라 외면의 가치를 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구하는 방법이 정당한지를 철저하게 따져야 마땅하다. 천거될 실력이라면 이덕수가 없어도 천거될 것이므로 그의 의도를 알면서 굳이 이번에 구할 것은 아니라고 본 것이다.
그때라 해서 청탁과 부정이 자행되지 않는 군자들의 시대였던 것은 물론 아니다. 외면의 가치들을 향한 욕망에 휘둘리는 것은, 별 수 없는 인간의 나약한 모습이다.
다만, 어떤 상황에서도 이것만은 구하고 지키겠다는 최소한의 무엇이라도 있는지 돌아볼 일이다.
황경원은 편지의 말미에 이렇게 적었다. “5대째 과거에 급제하지 못해 가난에 시달리는 저의 집안을 생각해주시는 마음 잘 압니다. 그러나 저로서는 바꿀 수 없는 내면의 소신이 있기에 드리는 말씀이니 살펴주시기 바랍니다.”
<송혁기 |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일반 칼럼 > 송혁기의 책상물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기지우를 꿈꾼다면 (0) | 2017.10.25 |
---|---|
이미지에 속지 않으려면 (0) | 2017.10.11 |
수레의 방향 (0) | 2017.09.06 |
부끄러움의 권면 (0) | 2017.08.23 |
애완과 공경의 갈림길 (0) | 2017.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