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전 세계가 몸살을 앓고 있다. 우리 역시 국민이 체감하는 불안감이 커지고 회복세에 접어들던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  

최근에는 완치돼 퇴원하는 환자도 이어지고 있지만, 외국을 다녀온 적이 없고 국내 감염자와의 접촉도 확인되지 않은 확진환자까지 발생해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게 됐다. 코로나19의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는 것이어서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의료기관에서 환자가 발생했을 경우 일선 의료기관이나 지자체 등의 초동대처가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번 사태 이후에는 좀 더 세밀하고 명확한 판단 아래 감염병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겠지만, 코로나19 초기부터 느낀 점은 DUR(Drug Utilization Review) 시스템의 제도화이다.

DUR은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로 의·약사가 의약품을 처방·조제할 때 함께 먹으면 안되는 약, 어린이·임산부가 먹으면 안되는 약 등 의약품의 안전성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해 부적절한 약물 사용을 사전에 점검·예방하는 것이다.

2010년 12월부터 전국 요양기관을 대상으로 DUR을 확대하고 실시간 무중단 점검서비스를 실시해 의사와 약사가 보다 안전하고 질 높은 처방과 조제를 할 수 있도록 해 왔다. 이 시스템을 활용해 2019년 기준 4785만건의 부적절한 의약품 사용을 예방하고 약품비 797억원을 절감할 수 있었다.

DUR 시스템이 빛을 발한 것은 2015년 5월 전국을 공포에 떨게 했던 메르스 퇴치에 중추적 역할을 하면서부터다. 전국 의료기관과 약국의 실시간 정보교류가 가능한 인프라를 갖춘 DUR 시스템으로 메르스 환자의 접촉자를 포함한 관리 대상자 약 35만명의 관련 정보를 의료기관에 실시간 제공한 것이다.

이후 질병관리본부와 협업체계를 갖추고 시스템(ITS·DUR)을 구축해 메르스, 에볼라, 라사열, 페스트 등 감염병 관련 국가를 방문한 해외여행 이력 정보를 실시간으로 의료기관과 약국에 제공하여 의심환자에 대한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번 코로나19 사태의 초기부터 DUR은 감염병 예방의 수문장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43만건의 중국인 입국자 및 확진자 정보를 제공하는 등 전파 확산 예방을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2월11일부터는 중국뿐 아니라 동남아 8개국 입국자 정보를 추가로 제공하고 있으며 추후 제공국가를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그러나 의료기관의 DUR 의무사용은 제도화돼 있지 않다. 이로 인해 이번 사태 초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전국 병원에 일일이 전화를 걸어 DUR 활용을 당부하고, 의료기관에서도 부랴부랴 DUR을 점검하는 등 무엇보다 중요한 초기 대처에서 아까운 시간을 낭비했다. DUR의 의무사용 법제화로 적절한 의약품 사용을 유도하고, 감염병 관리 정보 제공으로 국민 안전을 지켜나가기를 바란다.

<허윤정 | 국회의원·전 심평원 심사평가연구소장>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