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외교국방통일분과 최대석 인수위원의 돌연한 사퇴를 놓고 시끄럽다. 인수위원의 중도 낙마가 이례적인 데다 인수위나 당사자가 구체적인 설명마저 피하는 바람에 다양한 뒷말들이 나오고 있는 탓이다. 개인적인 문제라는 해석부터 대북정책을 둘러싼 박근혜 당선인 측 내부의 노선 갈등이라는 시각까지 그 스펙트럼은 넓다. ‘일신상의 이유’라는 인수위의 설명은 오히려 의구심만 키우는 형편이다. ‘최대석 미스터리’라고 할 만하다.
박근혜 당선인이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최대석 위원 임명장 수여식 후 기념촬영 (경향신문DB)
최 전 위원이 그동안 박 당선인 주변에서 해온 역할과 위상 등을 감안한다면 그의 낙마는 여러 의혹을 낳는다. 그는 박 당선자의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성안한 것으로 알려진 인사로 차기 통일부 장관이나 청와대 입성이 유력시 돼왔다. 7~8년 전부터 박 당선인에게 외교안보에 대해 조언해왔고, 박 당선인의 두뇌집단인 국가미래연구원 발기인이기도 하다. 게다가 8·9·10·12대 국회의원을 지낸 고 최재구 전 공화당 부총재의 장남으로 젊은 시절부터 부친을 통해 박 당선인과 인연을 맺었다고 한다. 그런 그가 사의를 표명하자 한번 눈에 들면 좀처럼 생각을 바꾸지 않는다는 박 당선인이 신속하게 수용한 것이다.
더욱 의아스러운 것은 인수위의 태도다. 쏟아지는 언론의 의구심 표명에도 불구, 인수위는 “일신상의 이유로만 이해해달라”는 입장에서 꿈쩍도 안 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최 전 위원이 보안을 누설한 데 대한 책임을 졌다느니, 관료 출신들과 갈등을 빚었다느니 하는 무성한 소문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있다. 대북 정책에 있어 ‘비둘기파’로 통하는 그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의 신년사를 긍정 평가한 것이나 5·14조치의 완화 필요성을 거론한 것을 두고 ‘매파’들이 집단 공격을 가하면서 그에 대한 반발로 인수위를 떠났을 것이라는 노선갈등설까지 나온다.
박 당선인이나 인수위는 최 전 위원 낙마의 의혹을 씻어줄 필요가 있다. 온갖 비판을 받은 윤창중 대변인의 거취에 대해서도 침묵했던 박 당선인이고 보면 이번 사태는 그것을 넘어서는 무엇이 있었다고 보는 게 타당하다. 더구나 인수위원은 공직자에 준하는 공인이다. 인사 검증기간도 아닌데 흔히 자질이나 돈, 건강 등의 문제를 말하는 일신상의 이유라는 말로 파문을 덮으려 하는 것은 국민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 이번 사태는 박 당선인과 국민 사이의 소통을 가늠하는 하나의 척도가 될 수 있다. 합리적 의문을 풀지 못하면 의심을 키우고, 그 의심은 불신의 근원이 된다. 최 전 위원의 중도 사퇴는 묻고 넘어갈 일이 아니다.
'정치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새로운 여야 관계, 박 당선인 하기에 달렸다 (0) | 2013.02.07 |
---|---|
[기자메모]선관위 등 뒤에 숨은 민주당 (0) | 2013.01.15 |
[경향시평]민주당에 왼뺨, 안철수에 오른뺨 (0) | 2013.01.14 |
[사설]예결위 상설화 국회 쇄신의 출발점 삼기를 (0) | 2013.01.08 |
[정동칼럼]‘우리’ 정체성의 회복 (0) | 2013.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