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스물일곱의 젊은이가 쉰을 넘어 초로에 접어들었다. 홍안이던 얼굴에는 병색이 깃들었다. 한 인간의 영혼이 송두리째 짓밟히고, 양심이 무참하게 모욕당했다. 길고 끈질긴 투쟁 끝에 진실을 되찾았다고 하나, 잃어버린 그의 인생은 누가 되돌려줄 건가. ‘사필귀정’이란 말로 치환하기엔 모진 세월이 안타깝다.

‘한국판 드레퓌스’로 불려온 강기훈씨가 ‘유서대필 사건’ 재심에서 무죄 확정 판결을 받았다. 1991년 분신자살한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전민련) 간부 김기설씨의 유서를 대신 작성했다는 혐의(자살방조)로 기소된 지 24년 만이다. 대법원은 어제 강씨에 대한 재심에서 무죄를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 대법원은 유죄 선고에 결정적 역할을 했던 국립과학수사연구원 필적 감정에 신빙성이 없다고 판단했다. 이제는 강씨의 변호사가 지적했듯 ‘유서대필 사건’이 아니라 ‘유서대필 조작사건’으로 불러야 할 것이다.

[김용민의 그림마당]2015년 5월 15일 (출처 : 경향DB)


불의한 권력이 빚어낸 오욕의 과거사를 사법부가 바로잡은 것은 뒤늦게나마 다행이다. 그러나 늦어도 너무 늦었다는 감을 지울 수 없다.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의 재심 권고에 따라 강씨가 재심을 청구한 게 2008년이다. 서울고법이 2009년 9월 이를 받아들여 재심 개시를 결정하자 검찰은 곧바로 대법원에 항고했다. 대법원은 재심 개시를 확정하기까지 또 3년여를 흘려보냈다. 검찰은 재심 과정에서도 강씨의 유죄를 주장했고, 지난해 2월 서울고법이 무죄를 선고한 뒤에는 상고를 강행했다. 그사이 강씨는 간암 수술을 받고 힘겨운 투병생활을 해왔다. 국가폭력의 피해자인 강씨에게 검찰과 법원이 ‘2차 가해’를 저지른 격이다.

가장 납득하기 어려운 것은 강씨의 무죄가 확정됐는데도 어느 한 사람 사과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1991년 당시 수사검사들은 “시대에 따라 증거가치에 대한 평가 기준이 다르다”며 궤변을 늘어놓았다고 한다. 유서대필이 24년 전에는 ‘사실’이었으나 시간이 흘러 ‘사실’이 아닌 쪽으로 변했다는 말인가. 후안무치(厚顔無恥)라는 말이 이토록 들어맞기도 어려울 터이다. 대법원 역시 “검찰의 상고를 기각한다”고만 했을 뿐 잘못된 판결에 대한 사과나 유감 표명은 없었다. 최고 법원의 품격이 이 정도라니 참담하다.

역사를 왜곡하고 한 시민의 삶을 무너뜨린 조작극에 대해 누군가는 반드시 책임을 져야 한다. 정부는 이제라도 ‘유서대필 조작사건’의 실체를 철저히 규명해야 할 것이다. 검찰과 법원을 비롯해 관련 기관·인사들이 자성하고 사과해야 함은 물론이다. 유야무야 넘어간다면 국가폭력이란 괴물이 언젠가 다시 살아나 또 다른 시민의 삶을 파괴할지 모른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