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제18대 대통령 선거가 1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선거일은 임박했으나 대진표는 유동적이다. 새누리당은 박근혜 대선후보를 선출했지만 야권은 안갯속이다. 민주통합당 경선에서 문재인 후보가 연승을 거두고 있음에도 대중의 시선은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에게 가 있다. 안 원장의 출마 선언이 임박했다는 설이 이어지고 있으나 아직은 확실치 않다. 출마 시 민주당 후보와 단일화할지, 독자 노선을 걸을지도 알 수 없다. ‘안철수 변수’에 따라 선거 구도와 판세는 급변할 것이다. 한 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운 ‘이상한 대선’이다.
주권자인 시민은 무엇을 할 것인가. 대진표가 짜이지 않았다고 경기 자체를 외면할 것인가. 그렇다면 정치권의 무책임을 탓할 자격이 없다. 선거의 주역은 후보도 아니고 정당도 아니다. 한 표를 던지는 주권자들이다. 이번 대선은 향후 5년, 길게는 그 이후 10~20년까지 한국의 진로를 결정할 중대 선거다. 이 같은 대선의 의미를 염두에 두고 투표권을 제대로 행사할 생각을 해야 한다. 100일은 그다지 긴 시간이 아니다.
대선 D-100일 앞둔 선관위 (출처: 경향DB)
우리가 생각하는 선택의 기준은 두 가지다. 시대정신, 그리고 ‘나와 내 가족의 삶’이다. 사실 둘은 분리된 게 아니다. ‘한국이 향후 어떤 나라가 되기를 바라는가’와 ‘나와 내 가족이 차기 정부에 무엇을 원하는가’는 일맥상통하는 이야기다. 일자리, 보육, 사교육비, 주택, 물가, 노후 대책 등 무엇이든 좋다. 변화를 기대하는 목록을 작성해보자. 그러고는 후보군의 인물 됨됨이와 정책공약을 짚어보자. 박근혜 후보는 상수(常數)다. 안 원장을 포함한 야권 후보군에서도 누군가 탈락하겠지만 새로 등장하는 이는 없을 것이다. 됨됨이를 평가하는 기준은 과거의 말과 행적이다. ‘카더라’ 식 소문에 귀 기울이는 대신, 신뢰할 만한 자료를 직접 찾아보고 주위 사람과 토론할 필요가 있다.
대통령중심제 국가의 대선은 ‘전부 아니면 전무’ 식으로 흐르는 측면이 있다. 대선전을 묘사할 때 사투, 혈투, 이전투구 같은 표현을 쓰는 까닭이다. 시민들은 이러한 용어의 남용이 야기하는 선거 혐오증을 경계해야 한다. 선거 과정이든, 선거에 나선 후보든 완벽할 수 없다. 최선이 없다면 차선, 차선이 없다면 차악이라도 고르는 것이 선거다. 후보 중에는 시대정신에 상대적으로 근접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이 있게 마련이다. 주권자는 이를 감별하는 ‘매의 눈’을 길러야 한다. 그것이 100일 동안 시민들에게 주어진 과제다. 시민의 책임은 엄중하다.
'정치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향시평]‘산업화’가 박정희 덕이라고? (16) | 2012.09.10 |
---|---|
[사설]‘인혁당 판결이 두 개’라는 박근혜 후보의 법치 인식 (1) | 2012.09.10 |
[사설]박근혜 후보의 ‘안철수 협박’ 인식 문제있다 (0) | 2012.09.07 |
[사설]거부권 검토라니 내곡동 특검 왜 하는지 모르나 (0) | 2012.09.07 |
[정동칼럼]“민주당, 쿠오바디스” (0) | 2012.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