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유명 동물권단체 ‘케어’가 2015년 초부터 지난해 9월까지 구조한 동물 중 250마리를 ‘안락사’ 형식으로 사실상 살해했다는 내부 고발이 나왔다. ‘케어 직원연대’는 지난 12일 “안락사는 보호소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개체수 조절을 목적으로 박소연 케어 대표의 지시와 묵인 아래 일부 관리자 사이에서 이뤄졌다”고 폭로했다. 죽음을 당한 동물 대부분은 건강했으며 임신한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케어가 구조 전에 치밀하게 안락사를 준비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해외로 입양시켰다”던 동물 대다수가 살해당했다는 증언도 나왔다. 또 “2010년 전에도 한 해 50마리 정도 안락사당했다”는 폭로도 이어졌다. 이는 ‘고통 없이 죽음에 이르게 해주는’ 안락사라고 볼 수 없다. ‘동물 살해’다. 동물보호법은 ‘수의학적 처치의 필요, 동물로 인한 사람의 생명·신체·재산의 피해 등 정당한 사유’에 한해서만 안락사를 허용하고 있다.

케어는 버려졌거나 고통받는 동물을 구조해 치료와 보호, 입양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2002년 설립된 시민단체다. 문재인 대통령이 입양한 유기견 ‘토리’를 보호해온 단체로 ‘부천 개농장 구조 프로젝트’ ‘서산 투견장 투견 구출작전’ 등 대규모 구조활동으로 주목을 받아왔다. 박 대표는 ‘말 못하는 동물들의 대변자’로 알려졌다. 그 덕분에 한 해 20억원 가까운 시민 후원금이 케어에 몰렸다.

출처:픽사베이

박 대표는 페이스북 공식 홈페이지에 올린 입장문을 통해 “2015년경부터 2018년까지 소수의 안락사가 불가피했다”며 혐의를 일부 시인했다. 그는 그러나 “안락사 기준은 심한 공격성으로 사람이나 동물에게 치명적인 해를 끼치는 경우, 전염병이나 고통·상해·회복 불능의 상태 등”이라며 “결정 과정은 회의 참여자 전원의 동의하에 동물병원에서 진행됐다”고 해명했다. 박 대표와 케어의 이중행각은 자신들을 응원해준 시민들을 배반한 것이다. 경찰은 철저히 수사해 책임자를 처벌해야 한다.

이번 사건은 ‘반려동물 1000만 시대’의 그늘을 돌아보게 한다. 매년 10만마리의 반려동물들이 이런저런 이유로 거리에 버려지고 있지만, 이들을 보호할 공간이 턱없이 부족해 관리가 한계에 부닥쳐 있다. 케어의 보호동물 안락사의 배경도 여기에서 비롯됐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동물복지에 대한 사회의 책임성을 끌어올리기 위한 건강한 논의가 벌어지기를 기대한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