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여야의 쇄신경쟁이 불붙기 시작했다.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은 4일 총선기획단을 발족하고 일제히 총선체제로 전환했다. 한발짝 앞서 나가는 쪽은 민주당이다. 민주당은 이해찬 대표 등 다선 중진의원과 초선 의원 등 대략 15명 정도가 불출마 의사를 밝혔다고 한다. 여기에 더해 현역 의원 평가에서 ‘하위 20%’(22명)를 배제할 경우 교체 폭이 전체 의원의 4분의 1이 넘는 40명 선까지 물갈이 폭이 커진다. 이 대표는 “민주당의 가치를 공유하는 참신한 인물을 영입해 준비된 정책과 인물로 승부하겠다”고 했다. 민주당발 공천개혁은 이미 시동이 걸린 셈이다.
반면 먼저 1차 영입인사를 발표한 한국당은 현 정부에 비판적인 ‘반문 인사’ 위주로 영입이 이뤄져 감동과 참신성을 찾아보기 어렵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그나마 문제 인사 몇 명은 보류했지만, 당내에서도 “인재 영입 기준이 국민이 아닌 당 지도부 눈높이에 맞춰졌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결국 황교안 대표는 “당에 대한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 일도 있었다”고 사과했다. 추가 영입을 더 지켜봐야겠지만 이런 인물들로 당의 변화와 쇄신을 바라는 시민들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지 의문이다.
국회가 민생을 저버리는 이유는 비민주적인 정당정치와 낡은 패거리 정치 탓이 크다. 그래서 구시대적 이념과 지역주의를 뛰어넘어 시민 눈높이에 맞는 참신한 대안세력을 발굴하는 ‘인적 쇄신’이 꼭 필요한 것이다. 4차 산업혁명에 발맞춰 국가적으로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서는 정치권의 인적 쇄신을 통한 세대교체가 더욱 절실하다. 그러나 우리 국회의원 중 50세 미만은 17%, 20·30대 의원은 0.7%에 불과하다. 스웨덴 34%, 독일 18%, 일본 8%, 미국 6.7%에 비하면 ‘시민 대표의 노쇠화’가 역력하다. 성별·세대별 대표성을 확대하는 건 시대적 요구다. 낡은 이념과 진영싸움에 매몰된 구시대 인물들을 과감히 정리하고, 그 자리를 젊고 유능한 인재들로 채우라는 것도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다.
내년 총선은 여야 모두 정치적 사활이 걸린 격전장이 될 수밖에 없다. 민주당은 문재인 정부 후반기를 끌어갈 동력이 필요하다. 한국당은 지난 세 차례의 선거 패배에 이어 내년 총선마저 실패하면 더 이상 설 땅을 찾기 어려울 것이다. 결국 총선의 성패는 어느 정당이 참신하고 새로운 인재들을 더 많이 수혈하는지에 달렸다. 이념이나 진영 대결로 정치를 하는 시대는 지났다. 무능과 무사안일에 지친 시민들이 원하는 것도 대대적인 인적 쇄신을 통한 정치판의 혁신이다. 여야는 인적 쇄신에 명운을 걸어야 한다.
'정치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권모 칼럼]“법사위는 하루하루 지옥이었다” (0) | 2019.11.05 |
---|---|
[사설]“군인권센터 소장 삼청교육대 가야 한다”는 박찬주 망언 (0) | 2019.11.05 |
[사설]한·일 갈등 이후 처음으로 만난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 (0) | 2019.11.05 |
[사설]‘조국 사태’에 취해 갈팡질팡 한국당, 이래선 미래 없다 (0) | 2019.11.01 |
[이기수 칼럼]하산길, 시간은 대통령 편이 아니다 (0) | 2019.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