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986년 부천서 성고문 사건이 처음 폭로되었을 때, 정부 당국은 ‘성조차 혁명의 도구로 이용하는 운동권의 상투적 수법’이라고 피해자를 매도했다. 갓 스물을 넘은 앳된 여학생이 그 치욕스러운 일을 폭로하기까지 얼마나 고통스러웠을까를 먼저 떠올리는 것이 평범한 사람들의 상정(常情)이었으나, 공신력을 가진 정부 기관이 이렇게 발표했으니 그 내용을 그대로 믿는 사람도 적지 않았다.


1991년 김기설씨가 분신자살하자, 정부 당국은 그의 유서는 강기훈씨가 대신 써 준 것이라고 발표했다. 평범한 사람들의 상식(常識)으로는, 동료더러 자살하라고 부추기고 유서까지 대신 써 주는 악마 같은 자가 있으리라고 생각하기 어려운 일이었으나, 역시 공신력을 가진 정부 기관의 발표였고 둘의 필체가 같다는 정부 기관의 감정 결과까지 있었다. 이번에도 많은 사람들이 강기훈씨를 ‘유서조차 대신 써 준 악마 같은 인간’으로 기억했다.


앞의 사건은 곧 진상이 밝혀졌으나, 암 투병 중인 강기훈씨가 무죄를 선고받은 것은 사건 발생 후 23년이 지난 며칠 전의 일이다. 공신력을 가진 국가 기관이 정치적 필요에 따라 사건의 내용을 조작하고 무고한 사람에게 죄를 뒤집어씌우는 행위는, 한 인간의 삶을 철저히 파괴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이런 행위는 사회 전체를 망가뜨린다.


김기설씨가 분신하기 직전, 모 대학 총장은 “죽음을 부추기는 어둠의 세력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말 그렇게 믿었던 것일까. 그를 믿을 만한 예언자로 만들어 준 것이 이른바 ‘강기훈 유서 대필사건’이었다. 이 사건을 조사하고 발표한 사람들은 정말 그렇게 믿었던 것일까. 권력은 자신의 필요에 따라 특정한 이념이나 정치적 성향을 ‘인간성’의 문제로 치환하는 간단한 트릭을 썼을 뿐이다. 평범한 사람들의 상정과 상식으로는 떠올릴 수 없는 악마 같은 ‘인간성’을 상상하고, 그 상상의 ‘인간성’이 실재(實在)한다는 사실을 입증하기 위해 증거까지 조작한 이런 행위는, 실제로는 그 행위자의 ‘인간성’을 드러내는 것이지만, 매스미디어는 이런 ‘인간성’에 대한 망상을 사회 전체로 확산시킨다. 대중이 이런 망상에 사로잡히는 순간, 그 사회는 무서운 미래를 잉태한다.



이 사회 일부에 자신의 성조차 도구로 이용하는 인간, 남의 유서까지 대신 써 주는 인간들로 이루어진 집단이 실재한다는 믿음은, 그들에 대한 공포와 증오를 부추기고 상식적인 방법으로는 그들에 맞서 이길 수 없다는 생각을 키워준다. 악마 같은 자들에 대항해 자신의 평온한 삶을 지키기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수단을 쓸 수밖에 없다는 믿음, 이런 믿음이 사람들 내면의 악마성(惡魔性)을 소환한다. 강기훈씨에게 “왜 유서를 대신 써 주었냐”고 물었다는 순진한 사람은 강기훈씨를 악마로 보았겠지만, 강기훈씨에게는 그의 그 순진한 질문이 악마의 목소리로 들렸을 것이다.


사람들 내면의 악마성을 소환해 그를 정치적 자원으로 활용하는 권력은 결코 선(善)할 수 없다. 나치 치하에서 유대인 학살에 동참했던 사람들, 캄보디아에서 킬링필드의 참극을 연출했던 사람들은 무슨 이념의 포로가 된 사람들이 아니라 악마 같은 자들로부터 자신의 가족과 나라를 지켜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지배된 평범하고 선량한 사람들이었다. 한나 아렌트의 말대로, ‘악’은 평범한 사람들의 평범한 삶 안에 존재한다.


이른바 서울시 공무원 간첩사건과 관련해 중국 정부가 “한국 검찰이 제출한 중국 공문서는 위조된 것”이라고 밝혔다. 이게 사실이라면, 어떤 정치적 필요에 따라 국제 망신의 위험까지 감수하며 증거를 조작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이 사회에 억지로 증오와 공포의 바이러스를 확산시키려는 짓은 그만두자. 좋은 정치는 사람들 마음에 ‘평화’를 심어주는 것이다.


전우용 | 역사학자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