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노무현의 문재인’과 ‘문재인의 조국’. 문재인 대통령과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의 이른바 평행이론에 새로운 장이 추가될 판이다. 13년을 사이에 두고 민정수석 출신으로 법무부 장관 물망에 오르면서다. 법무부 장관 기용설이 제기된 과정, 배경, 논란마저 닮은 구석이 적잖다. 

거슬러 2006년 8월, 새 법무부 장관에 석 달 전 청와대를 나온 문재인 전 민정수석이 검토되고 있다는 소식에 여의도가 발칵 뒤집혔다. 도덕성이나 역량, 대통령과의 소통 등 하자가 별로 없는 ‘문재인 법무부 장관’을 비토한 건 야당만이 아니었다. 측근 인사, 선거 중립성 등을 문제 삼으며 “정신적 테러” “오만의 극치”라고 공세를 편 한나라당 못잖게 여당인 열린우리당에서 ‘불가론’이 터져나왔다. “개인적으로는 가장 적합한 인물이라고 본다. 하지만 국민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것 같다.”(당시 김근태 열린우리당 의장) 노 대통령은 열린우리당 지도부와의 청와대 오찬에서 “코드인사라고 비판하는데 솔직히 쓸 만한 사람, 마음이 통하는 사람을 써야 하는 것 아니냐”고 격정을 토로했다. 곡절 끝에 ‘문재인 카드’는 접혔다.

13년이 흐른 지금, ‘조국 법무부 장관’ 기용설이 여의도를 흔들고 있다. 역시 사법개혁 명제와 대통령과의 신뢰 등이 적임의 이유로 지목된다. 한나라당의 후신인 자유한국당이 “헌법 질서에 대한 모욕”이라며 반발하는 것도 기시감이 든다. 다른 것은 여당의 분위기다. “적임자”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적극 옹위 속에 반대·우려의 목소리는 희미하다. 다만 2011년 이명박 정부 당시 권재진 민정수석의 법무부 장관 직행 때 “군사독재 시설에도 차마 하지 못했던 일”이라며 반대했던 기억이 어른거린다. 도저한 ‘자기부정’이 될 수 있다는 게 정치적 부담일 터이다. 개각 시점까지는 꽤 시간이 남아 있음에도 조국 법무부 장관설이 흘러나온 것은 아마도 이런 것을 감안해 여론의 반향을 재보려는 것일 수 있다. 

13년 전 문재인 민정수석은 법무부 장관 대신 대통령비서실장으로 들어가 참여정부의 마지막을 함께했다. 과연 조 수석은 “군사독재 시절에도 못했다”는 민정수석에서 법무부 장관으로 직행하는 길을 열게 될까? ‘문재인-조국 평행이론’의 끝이 궁금하다.

<양권모 논설실장>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