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충북 제천 노블휘트니스앤스파 화재 참사로 29명이 목숨을 잃었다. 화재경보기가 울리지 않았고, 스프링클러는 잠겨 있었으며 불법주차로 소방차의 진입이 지연된 것으로 나타나, ‘또 인재(人災)를 막지 못했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책임자 처벌 요구도 높다.

특히 초기 대응이 적절했는지에 대한 분석이 시작되면서 출동한 소방관들의 책임 소재를 두고 공방이 붙었다. “2층 유리창을 깨지 않아 화를 키웠다”는 주장이 나오면서다. 이에 “유리창을 무리하게 깨면 산소가 갑자기 유입되는 ‘백드래프트(Backdraft)’ 현상으로 불길이 더 커졌을 것”이라며 “건물 옆 대형 LPG통의 폭발 가능성을 없애기 위한 진화가 우선이었다”는 반박이 붙었다.

누리꾼들은 이 같은 공방에서 화살이 소방관들에게만 집중되는 것을 경계했다. ‘@fl****’는 “지금 정원으로 그 (큰)불을 끄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소방관이 네 명”이라며 열악한 환경을 언급했다. 이어 “안전이나 복지는 비용이다. 비용을 줄이고 더 안전하고 더 행복해지겠다는 건 마술”이라고 덧붙였다. ‘@am****’도 “13만6300명 인구의 제천시에 소방관이 팀장을 포함 13명이며 1일3교대로 상시근무자가 4명(이) 1조”라고 썼다. 소방관 한 명이 시민 3만4000명을 담당하는 상황을 꼬집은 것이다.

‘@vi****’는 “구조대원 4명이었다는 기사 읽고 진짜 눈앞이 캄캄해졌다”고 말한 뒤 “(야당이) 소방관 증원에 반대하며 ‘화재 많이 나지 않는다’고 운운한 게 올해 7월”이라고 했다. 지난 추경 때 소방관 등 공무원 증원 예산을 반대했던 점을 상기시킨 것이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화재 직후 현장을 방문하자 정치권의 당시 행보가 다시 도마에 올랐다. ‘@se****’는 “증원이 화재를 막을 수 있었다고 얘기하는 게 아니다”라며 “소방관 증원도 재난관리 시스템을 현실화하는 중요한 요소다. 충원 막고 자랑스러워했던 국민의당의 행태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소방차가 출동 중에 불법 주차된 차량을 손상시키거나 밀어버려도 소방관들이 책임지지 않도록 해달라’는 청원도 시작됐다.

<김보미 기자 bomi83@kyunghyang.com>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