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강신주 | 철학자
아침, 아니 정확히 말해 아직 이른 새벽, 고요한 산사에는 목어와 범종 소리가 어김없이 울려 퍼진다. 가슴 깊은 곳에 파고드는 범종 소리는 우리 마음을 아리게 한다. 누구를 깨우는 것일까? 생명을 가진 모든 것들이 오늘도 생명을 지키기를 바라는 마음 아닐까? 토끼를 먼저 깨워야 한다. 늑대가 먼저 깨어나면 토끼가 먹잇감이 될 수도 있으니까. 그렇다고 해서 늑대를 죽여서 토끼가 편하게 살도록 할 수도 없다. 늑대는 또 무슨 죄인가? 무엇 때문에 다른 짐승의 살을 뜯어먹고 살도록 태어난 것일까? 하지만 육식 동물들이 항상 사냥에 성공하는 것도 아니다. 그래서일까. 늑대는 항상 말라 있다. 일주일에 하루 사냥에 성공하면 기적이라고나 할까. 그러니 마를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해서 토끼를 잡아다 늑대에게 줄 수도 없다. 새벽 산중을 깨우는 목어, 범종, 법고 등의 소리는 그래서 아픈 소리다. 토끼에게는 오늘 늑대에게 잡아먹히지 말라는 기원을, 그리고 늑대에게는 오늘 굶지 말라는 소망을 담아 보내는 소리인 셈이다.
그렇지만 우리가 이런 소망을 품을 수 있는 존재이기라도 할까. 인간처럼 죄가 많은 존재도 없으니까 말이다. 풀을 뜯어먹는 토끼나 토끼를 잡아먹는 늑대처럼 우리도 식물을 먹고 동물도 잡아먹고 산다. 사실 우리는 늑대나 사자보다 더 무서운 존재이다. 어쨌든 생태계의 최정상에 군림하고 있는 것이 바로 인간이니까 말이다. 그래서 물짐승, 날짐승, 들짐승 등을 다 깨우고, 제일 마지막에 깨워야 할 존재가 바로 우리라고 할 수 있다. 어쩌면 스님들이 조금도 음식을 남기지 않고 공양을 마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인지도 모른다. 음식을 남기지 않고 모조리 먹어야 다른 애꿎은 생명체들을 해치는 비극을 그나마 줄일 수 있을 테니까. 자비의 마음이란 바로 이것이다. 살아간다는 것의 고통에 대한 감수성이 아니라면 자비는 아무것도 아니다. 종교적 용어가 싫다면, 인류의 수많은 지성이 목놓아 외쳤던 사랑이라고 해도 좋다.
길을 가다가 구걸을 하는 걸인을 보고 그가 느낄 삶의 고통과 비애를 느낄 수만 있다면, 우리는 그를 못 본 척하고 떠날 수는 없을 것이다. 이미 그의 고통이 느껴졌다면, 그의 고통은 이제 나의 고통이기도 하니까. 지갑의 돈을 꺼내 집어주던가, 아니면 옷을 벗어 줄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그것은 그가 불쌍해서가 아니라, 그의 고통이 이제 나의 고통이 되었기 때문이다. 이미 내 것이 되어버린 고통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꺼리겠는가.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할 수밖에 없다. 이것이 바로 사랑 아닌가. 나의 돈을 주었으니 나는 가난해진 것이고, 나의 옷을 벗어주었으니 나는 추워진 것이다. 그렇지만 그만큼 나의 고통은 완화될 수 있으니, 그깟 돈이나 옷이 대수이겠는가. 결국 진정한 사랑이 외적인 형식으로 판단되는 것이 아니라, 내면성을 갖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인지 모른다.
(출처: 경향DB)
사랑의 척도, 혹은 사랑의 깊이는 사랑의 행동 이후에 얼마나 자신이 궁핍했는지, 나아가 그 궁핍을 얼마나 행복하게 감당하는지에 의해 측정될 수밖에 없다. 자신이 가진 재산의 일부를 가난한 사람에게 기부하는 재벌의 노블레스 오블리주가 사랑이라고 보기 어려운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그는 그 대가로 세금 감면 혜택을 받거나, 아니면 귀족적 고상함을 소유하고 있다는 칭송을 받을 수도 있고, 아니면 자신이 경영하는 기업의 이미지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더 배고픈 사람에게 자신의 음식을 나누어준 사람이나 더 추운 사람에게 옷을 벗어준 사람은 자신이 사랑을 실천했다는 사실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더 배고파졌으니까, 그리고 더 추워졌으니까 말이다. 삶의 아이러니, 혹은 자본주의의 슬픈 현실은 가난한 사람에게 재벌의 노블레스 오블리주가 가난한 사람의 사랑보다 더 도움이 된다는 데 있다. 그렇다. 사랑을 하기도 힘든 일이지만, 이처럼 사랑을 받기는 더군다나 더 힘든 일이다.
'=====지난 칼럼===== > 강신주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학자 강신주의 비상경보기]왜 당신은 투표장에 가야만 하는가 (0) | 2012.12.16 |
---|---|
[철학자 강신주의 비상경보기]누가 민주주의를 모독하려고 하는가 (0) | 2012.12.02 |
[철학자 강신주의 비상경보기]노동의 가치 (0) | 2012.11.04 |
[철학자 강신주의 비상경보기]누가 민주주의를 두려워하는가 (0) | 2012.10.07 |
[철학자 강신주의 비상경보기]누가 ‘과거를 퉁치자’고 하는가 (0) | 2012.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