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불교의 수계의식은 엄숙함을 넘어 장엄하다. 10계를 받는 사미·사미니의 수계든, 250계 비구계와 348계 비구니계를 받는 비구·비구니의 구족계 수계의례든 마찬가지다. 수계의식 때면 밤을 꼬박 새워 3000배를 한다. 파르라니 깎은 머리에서 땀방울이 뚝뚝 떨어진다. 세속의 질긴 인연을 끊고 스님으로 살아가려는 다짐의 결정체다. 연비의식도 치른다. 촛농을 물들인 삼베실의 불이 살갗을 태운다. 오직 부처님 법대로 살겠다는 발원의 상징이다. 부모도 속세도 등진 불제자가 초발심을 잊지 않게 연비는 팔뚝에 귀한 상처까지 남긴다.

아무나 스님이 되진 못한다. 인간의 본능마저 거스르는 ‘독한’ 이들이다. ‘우파니샤드’ 경구처럼 버림으로써 영원하고 청정한 진리를 얻는 이들이 스님이다. 상구보리 하화중생(上求菩提 下化衆生)의 실천자들이다. ‘잡아함경’에서처럼 마음의 밭을 갈기에 불자들은 기꺼이 시주하고 두 손 모아 고개 숙인다.

이 땅의 스님이라면 누구나 초발심을 내고 운수납자의 길을 잡았다. 그 스님들의 공동체이자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조계종단이 볼썽사납다. “견지동 정치가 여의도 정치를 뺨친다”는 뒷말이, “해도 너무한다”는 말이 저절로 나온다. 총무원장이 ‘탄핵’되는 초유의 사태까지 빚어졌다. 스님의 근기(根機)가 문제이든, 조계종 정치의 희생양이든, 이름난 문중 선승의 민낯이 보였다. 중앙종회는 총무원장으로 뽑을 때는 언제고 한마디 참회의 말도 없이 내쳤고, 원로회의는 속된 말로 사퇴를 ‘확인 사살’까지 했다.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설정 스님이 21일 서울 종로구 견지동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기자회견을 하던 중 눈을 감고 있다. 연합뉴스

총무원장 사퇴 직후 조계종 제도권은 기존처럼 간선제로 뽑는 새 총무원장 선거일을 결정하는 등 선거체제로 전환했다. 종단사에 새겨질 부끄러운 일이 왜 벌어졌고,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에 관한 토론도, 문제의식도 없는 듯하다. 그러다보니 재야 측에서는 제도권의 선거체제가 자승 전 총무원장을 중심으로 한 기득권의 전략이라고 반발한다. 결국 양측은 26일 ‘전국승려대회’와 ‘교권수호 결의대회’라는 대규모 맞불 집회를 연다. 1990년대 분규 때 스님들의 ‘칼부림’이 떠올라 걱정이 앞선다. “네가 아프니 나도 아프다”는 유마경의 말씀이 거꾸로 읽힌다.

26일을 기점으로 조계종단은 제도권의 의지대로 나아갈까, 아니면 전국승려대회에 힘이 실릴까. 애써 전망할 필요가 없다. 금권화, 정치화, 세속화된 종단이 청정승가를 회복하지 못하면 희망 자체가 없어서다. 돈을 향한 물욕, ‘닭벼슬만도 못하다는 중벼슬’ 권력을 향한 집착, 종단·사찰 재정의 불투명성과 운영의 비민주성…. 탐진치(貪瞋癡)의 종합세트가 그동안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신도와 출가자의 급감, 신뢰의 급락 등 종단이 처한 현실을 모두가 잘 알고 있지 않은가.

종단이 거듭나지 못하면 불자들마저 등을 돌릴 수 있다. 총무원장 사퇴를 이끌어낸 이번 과정에서는 기존과 다른 구도가 엿보인다. 과거엔 ‘기득권 스님들’ 대 ‘비기득권 스님들’ 구도였다면 이번엔 ‘기득권 스님들’ 대 ‘재가불자들’의 대응이다. 설조 스님의 단식에, 종단개혁을 내건 촛불집회에 재가불자 외에 스님이 몇 명이나 보였는가.

출가자 스님들이 제 역할을 하지 않으면 재가불자들이 나설 수 있다. 최근 월정사에서 열린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대불련) 전국동문대회에서는 “종단의 무능함을 보았다”며 “파사현정의 정신으로 범계비리승을 축출하고 권승카르텔을 해체하는 인적청산과 사부대중의 평등한 참종권 부여, 수행과 재정의 분리, 총무원장 직선제 등 제도개혁”을 추진한다는 결의문이 채택됐다.

무엇보다 한국불교의 갈 길을 ‘승가공동체’가 아닌 ‘재가공동체’에서 찾자는 목소리까지 나왔다. 정의평화불교연대가 연 포럼에서는 “대만의 거사불교운동처럼 종단 바깥에 청정한 불교를 만들고, 종단에 대한 불복종운동, 시주 거부운동 전개”까지 제안됐다. 청나라 말 중국에서 일어난 거사불교운동은 기득권 스님들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자 거사들이 나섰다. 그 영향을 받은 대만불교는 지금 다양한 재가공동체가 활성화돼 대승불교 정신을 널리 퍼뜨리고 있다. 재가불자가 스님에게 종속된 게 아니라 불법을 펴는 불교공동체의 당당한 일원으로 몫을 하는 것이다.

어쩌면 출가자 중심이 아닌 재가자 중심의 ‘종단’이 세워질 수도 있다. 종교적 청정성, 도덕적 정당성이 더 반듯한 쪽으로 사람들은 모인다. 신심 깊은 불자가 만나고자 하는 것은 ‘스님’이 아니라 ‘부처’요, 얻고자 하는 것은 ‘스님법’이 아닌 ‘부처법’이기 때문이다. 충남 당진으로 귀촌한 불교신자 지인이 전화를 했다. “신도증 반납했어요. 이젠 절, 스님 말고 서산 마애삼존불을 찾으려고요.”

<도재기 문화에디터>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