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선근형·이청솔기자 ssun@kyunghyang.com
ㆍ2명중 1명은 영남·고려대… 4대 권력기관 더 편중
이명박 정부 공직 참여인사 중 대구·경북(TK) 출신이 20.3%, 부산·울산·경남(PK) 출신이 15.7%를 차지하는 등 영남 출신이 전체의 36.0%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호남(광주·전남·전북) 출신은 영남 출신의 절반 정도에 해당하는 19.0%에 머물렀다.
또 출신대학별로는 서울대가 39.2%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이 대통령의 모교인 고려대 출신은 전체의 13.7%로 3위 연세대(8.8%)와 큰 격차를 보였다.
경향신문이 100명의 지식인들을 상대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이 대통령이 ‘불통 인물 1위’로 꼽힌 배경에는 이와 같은 동향·동문 위주의 인사정책이 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경향신문이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지금까지 청와대와 국가정보원, 감사원, 군·검찰·경찰을 포함한 36개 부처·위원회·외청의 장·차관과 청장, 주요 실·국장 등 210개 요직을 거쳤거나 현재 재직 중인 인사 306명에 대한 출신 지역 및 학교 등을 조사한 결과, 영남 출신이 110명(36.0%), 고려대 출신이 42명(13.7%)으로 나타났다. ‘영남+고려대’의 교집합 15명을 빼면 137명(44.7%)이 영남 또는 고려대 출신으로 핵심 요직 2명 중 약 1명이 이 대통령과 동향 또는 동문인 셈이다.
특히 영남 편중현상은 곳곳에서 확인된다. 출신 고등학교별 분류에서 경북고 출신은 18명(5.9%)으로 경기고에 이어 2위를 차지했으며 경남고 9명(2.9%), 대구고 7명(2.3%), 부산고 5명(1.6%) 등 영남 소재 고교 6개교가 상위 15위 안에 포함됐다. 또 지방대 출신 32명(10.5%) 중 경북대 9명(2.9%), 부산대·영남대 각각 8명(2.6%) 등 영남에 위치한 대학 출신이 총 25명으로 78.1%나 됐다.
이명박 정부의 인사 편중은 검찰·경찰·국정원·국세청 등 ‘4대 권력기관’에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4대 기관의 전·현직 수장 8명 중 영남 출신은 5명(62.5%), 고려대 출신은 2명(25.0%)으로 평균을 훨씬 웃돌았다. 또 4대 기관의 핵심 요직 인사 51명 중 영남 출신은 26명(51.0%)을 차지했으며 고려대 출신은 8명(15.7%)으로 평균을 상회했다.
이명박 정부의 ‘성골’이라 할 수 있는 ‘TK+고려대 출신’은 총 9명으로 남일호·성용락 감사원 전·현직 사무총장, 노환균 대검 공안부장, 강희락 경찰청장, 박영준 국무총리실 국무차장, 주상용 서울경찰청장, 곽승준 청와대 국정기획수석비서관 등 요직 중의 요직에 배치돼 있다. ‘PK+고려대 출신’은 6명으로 김성호 전 국정원장, 이종찬 전 청와대 민정수석, 장수만 국방부 차관, 박형준 청와대 홍보기획관 등 전·현직 ‘실세’들이 두루 포진해 있다.
이 같은 이 대통령의 인사방식에 대해 한나라당 내에서조차 “소통을 방해하는 주범”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김성식 의원은 “연고를 넘어 만천하의 인재를 두루 기용해야 한다”며 “직언을 할 수 있는 인사가 청와대와 정부에 많이 포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정현 의원도 “지역이나 모교를 뛰어넘는 전문가 그룹 위주의 탕평인사를 실시해 누가 봐도 승복할 만한 인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김성태 의원은 “지난 4·29 재·보선에서 한나라당이 참패한 이후 이 대통령의 한 측근이 ‘지방선거에 불과하다’는 말을 한 적이 있다”며 “대통령의 측근들이 나서 소통을 가로막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이 대통령의 인사 스타일은 쉽게 바뀌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단적인 예가 이 대통령이 지난달 26일 정책자문교수단과의 조찬간담회에서 한 발언이다. 당시 자문교수들이 측근인사 중심의 인재풀 운영을 비판하며 “좌우를 넘어 폭넓게 사람을 쓰는 방식으로 인적 쇄신을 하라”고 건의했지만, 이 대통령은 이를 정면으로 반박했다. “국면전환용이나 충격요법으로 인사를 해선 곤란하다. 그렇게 해서 바꿨다가 다음에 또 다른 문제가 생기면 더 세게 해야 하는데 그런 식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게 이 대통령의 답이었다.
ⓒ 경향신문 & 경향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지난 칼럼===== > 한국, 소통합시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소통합시다⑤]대화·설득·동의의 ‘정치적 과정’ 없는 독주 (0) | 2009.07.12 |
---|---|
[한국, 소통합시다⑤]기득권 위한 정책 밀어붙여 (0) | 2009.07.12 |
[한국, 소통합시다⑤]李대통령 상인 5번·농민 2번·장애인 1번 만났다 (0) | 2009.07.09 |
[한국, 소통합시다④] 내가 소통하는 법-남재희 전 노동부장관 (0) | 2009.07.09 |
[한국, 소통합시다④]강준만 ‘성역’깨는 전사에서 ‘소통의 전도사’로 (0) | 2009.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