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계란 파문이 언제 막을 내릴지 알 수 없을 정도로 파장이 심각하다. 큰 사건이 터지면 그 파장은 곳곳으로 삽시간에 퍼져나가기 마련이다. 규모가 큰 진도의 지진이 발생한 뒤 그보다 훨씬 작은 규모의 여진에도 사람들이 소스라치게 놀라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위험을 대하는 대중의 이러한 인식은 심리적 요인이 커서 그렇다. 위기 관리나 위험 소통에서는 시민들의 이런 위험 인식을 바탕으로 대응을 하고 정책을 펴는 것이 기본이다. 하지만 지금 정부는 살충제 계란 파문이라는 예상치 못한 사건을 만나 허둥대고 있다. 이는 1000곳이 넘는 전체 산란계 농장에서 생산한 계란에서 살충제 성분 잔류 여부와 종류, 농도 등을 서둘러 파악하느라 적합을 부적합으로 발표하는가 하면 농장 이름을 잘못 발표해 불신을 자초한 것..
농림축산식품부가 산란계 농가의 계란에서 맹독성 살충제인 DDT성분이 검출된 사실을 확인하고도 은폐를 시도한 정황이 드러났다. 날림 전수조사와 뒷북 대응도 모자라 식품안전과 관련한 정보를 은폐하는 것은 심각한 직무유기다. 게다가 산란계 농장 420곳을 대상으로 보완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북 1곳, 충남 2곳의 농장에서 살충제 성분인 ‘플루페녹수론’이 추가로 검출돼 부적합 농장이 52곳으로 늘었다. 특히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농장에서 생산된 부적합 계란 35만개가량이 빵이나 훈제계란 등으로 가공돼 시중에 판매된 것으로 확인돼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농식품부는 경북 영천과 경산에 있는 농장의 계란에서 DDT 성분이 검출된 사실을 확인하고도 지난 18일 전수조사 결과 발표 때 이를 공개하지 않..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지만 방역당국의 늑장대처로 농가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 전남 해남과 충북 음성에서 처음 발생한 AI는 수도권과 중부 내륙으로 번지고 있다. 지난 주말에는 전국 최대 닭 산지인 경기 포천의 산란계 농장에서 검출된 AI 바이러스가 고병원성으로 확진됐다. 제주와 영남지역을 빼놓고 전국을 휩쓸고 있는 AI로 살처분된 닭과 오리만 100만마리에 육박한다. 이번 AI 바이러스는 종전 H5N1형과 달리 전염성이 강하고 폐사율도 높은 H5N6형이다. 아직까지 농가 간 전염 사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농가끼리의 2차 전염도 시간문제라고 한다. AI의 확산은 방역당국의 늑장대처 탓이 크다. 농림축산식품부는 AI가 처음으로 확진된 지난 17일 이후 1주일간 손을 놓고 있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