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cWzGK7/btrH9HY8uj9/h8hWNIS0WANAooSQSAkVuk/img.jpg)
“코로나가 심하니 조심하시고, 안전벨트 한 번씩 확인해주세요.” 고속버스 기사님이 출발 직전 버스에서 열명 조금 넘는 승객에게 말했다. 지난 23일 이른 오후 경남 거제에서, 전날 마무리된 대우조선해양 하청노동자 파업 취재를 마치고 복귀하기 위해 오른 버스였다.
“아시겠지만 테이크아웃 음료는 안 되니 조심해주시고요.” 승차 안내를 이어가던 기사님은 숨을 한 번 고르더니 이어 말했다. “대우조선 파업이 일단은 마무리됐습니다. 반가운 소식이죠. 하지만 완전히 해결된 건 아닙니다. 하청업체 분들 얼마나 많이 수고하십니까. 위험하고 열악한 곳에서 돈은 적게 받죠. 원청이 파이를 양보를 하고 나눠줘야겠죠. 하루빨리 해결의 실마리가 잡히길 바랍니다.” 고속버스 기사님들이 출발 전 안내하는 모습은 꽤 봤지만, 사회 현안에 관해 말하는 장면은 처음이었다.
대우조선해양 하청노동자들의 파업을 두고 보수·경제지에서는 하청노동자들의 파업으로 지역사회와 상권이 울상을 짓는다고 연일 보도했다. 조선소 다른 노동자들의 따가운 눈총을 받는다고도 했다.
![](https://blog.kakaocdn.net/dn/bhh0X3/btrIdYLTzBF/kE1AOmUGDgOo6LCQzgbaFk/img.jpg)
현장 여론은 그게 다가 아니었다. 협상이 타결된 지난 22일 취재팀이 늦은 저녁을 먹은 국밥집의 주인은 “하청노동자들 정말 돈 못 번다. 원청이 돈을 좀 더 줘야 한다”고 했다. 대우조선해양 현장직 1만6000여명 중 1만1000명이 하청노동자들이다. 실제 지역 상인들과 부대끼는 ‘이웃’은 하청노동자들이고, 이웃의 처지를 가장 잘 아는 이들은 입을 모아 하청노동자들의 처우를 증언했다.
물론 파업에 불만을 가진 이들이 상당수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맞불집회 참석자도 꽤 많았고, 대우조선 정규직노조에서는 금속노조에서 탈퇴하자는 투표까지 이뤄질 정도였다. 다만 이 투표도 개표를 멈추기 직전까지 반대표가 우세했다. “하청노동자들이 모두의 질타를 받으며 홀로 ‘생떼’를 부렸다”는 주장은 거짓말인 것이다. ‘노조 혐오가 온 세상을 뒤덮었다’는 진보언론의 개탄도 진실을 더 가까이서 본다면 쉽게 나오지 않을 말이다.
이날 고속버스는 공교롭게도 희망버스 집회가 열리는 옥포조선소 서문을 지났다. 길이 막혔지만 궁시렁대는 승객은 없었다. 현실은 늘 구체적이다.
조해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