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지난 1일 강원 동해시에서 ‘제8회 수산인의날’ 기념식이 있었다. ‘깨끗한 바다, 풍요로운 어장, 하나되는 수산인’을 주제로 한 올해 기념식은 수산인들이 어려운 여건에서도 수산자원 보호에 앞장서겠다는 결의를 다진 자리여서 더욱 뜻깊었다.

기념식이 열린 강원도 동해안은 한류와 난류가 교차해 예로부터 황금어장으로 손꼽혀온 곳이다. 국민생선인 명태와 오징어의 주산지로 수산진미(水産珍味)를 찾는 미식가들이 즐겨 찾는 관광지이기도 하다. 그래서인지 동해안 하면 만선의 꿈에 부풀어 바다를 오가는 어선과 사람들로 북적이는 활기찬 포구가 자연스레 떠오른다.

그러나 최근 동해안은 예전의 풍요로움을 잃을 위기에 처해 있다. 한때 17만t이나 잡혔던 명태가 거의 자취를 감추고, 오징어도 금징어라 불릴 정도로 어획량이 줄면서 어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게다가 어가인구 감소까지 겹치면서 동해안 어촌이 소멸되는 것 아니냐는 위기의 목소리도 들려온다.

이는 비단 동해안만의 문제가 아니다. 우리나라의 연근해 어획량은 10년 전 128만t에서 최근 100만t 수준으로 줄면서 수산자원 감소 문제가 대두되었다. 어가인구도 2000년 대비 절반 수준인 12만명으로 줄고, 65세 이상 어업인의 비율이 35%를 넘을 정도로 고령화가 심각한 수준이다.

이에 정부는 수산업이 당면한 위기를 극복하고 혁신성장으로 쇄신하고자 지난 2월 ‘수산혁신 2030 계획’을 발표하였다. 동 계획은 수산자원 관리부터 생산, 유통, 소비까지 전 단계를 혁신하기 위해 주요 4개 부문에서 다음과 같이 근본적이고 내실 있는 대책을 담고 있다.

첫째, 연근해 어업 부문은 생산지원 중심에서 자원관리 중심으로 대전환한다. 어종별로 잡을 수 있는 어획량을 관리하는 총허용어획량제도(TAC)를 확대 시행하는 한편, 과학적인 자원평가에 기반하여 자원량 대비 과도하게 운영 중인 어선들은 합리적으로 감척하고, 조정 후 운영될 어선들은 설비 개량 등 현대화하여 잡는 어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여 나간다.

둘째, 양식어업 부문에서는 친환경·고부가가치 스마트양식 체계를 구축한다. 정보통신·바이오 기술을 융합한 첨단 스마트양식 기술을 확대 보급하고, 생사료 대신 친환경 배합사료를 점진적으로 의무화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진입규제 완화와 참치펀드 등 새로운 투자 상품 개발로 규모화·기업화도 적극 지원한다.

셋째, 수산물 유통 부문에서는 복잡한 단계를 축소하여 생산자는 제값을 받고 소비자는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효율적인 유통 체계를 만들어 나간다. 울진의 붉은대게 가공단지, 포항의 과메기 가공단지처럼 지역특산품과 연계한 수산식품 거점단지를 단계적으로 확충하여 가공산업의 육성에도 힘쓸 계획이다.

넷째, 어촌을 혁신적인 정주·여가공간으로 재탄생시킨다. 우선 ‘어촌뉴딜 300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여 어촌을 혁신적으로 현대화하고, 어촌계 진입장벽 완화와 귀어학교 설립 확대 등을 통해 귀어·귀촌이 보다 활성화되도록 지원한다. 또한 어촌의 6차 산업화를 통해 전통적인 생산기능에 유통, 가공, 관광기능까지 더함으로써 살기 좋고 즐겨 찾는 어촌을 만들어 나갈 것이다.

올봄 동해에서 잡은 명태 중 일부가 2015년에 방류한 어린 명태라는 것이 유전자 분석으로 확인되었다. 명태 살리기 프로젝트에 심혈을 기울여온 정부와 어업인에게 반가운 소식이다. 동해에 명태가 다시 돌아왔듯 ‘수산혁신 2030 계획’을 통해 수산업에도 새로운 활력이 돌아올 것이라 믿는다. 동서남해 모든 바다에 풍어의 노랫가락이 다시 울려 퍼지고, 2030년에는 수산산업 매출액 100조원, 어가소득 8000만원을 달성하겠다는 우리 수산인의 꿈이 실현되길 소망해본다.

<김양수 | 해양수산부 차관>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