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4월11일은 정부가 국가기념일로 제정한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일이다. 정부는 100주년 기념행사를 성대히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그러나 지난해까지는 4월13일을 임시정부 수립일로 기념해 왔다. 이전까지 4월13일을 임시정부의 수립일로 정한 주된 근거는 일제 자료다. 윤봉길 의사의 상하이의거(1932년 4월29일) 직후 일경은 임시정부 사무실을 급습해 임정 문서를 압수해갔다. 이를 참고해 상하이 주재 일본총영사관 경찰부 제2과가 연표식으로 정리해 펴낸 <조선민족운동연감>의 1919년 4월13일조에는 ‘내외에 독립정부 성립을 선언해…’라는 문장이 있다. 이 짤막한 일제의 기록이 4월13일을 임시정부 수립일로 정하는 데 결정적 자료가 되었다. 

그러나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중국에서 발견된 임정 관련 자료를 통해 ‘상하이 임정 수립일은 4월11일’임이 확인되었다. 이에 그동안 학계를 중심으로 임시정부 수립일을 바로잡아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어 왔다. 

당시 논란은 상하이임시정부의 수립일이 11일이냐 13일이냐였다. 2018년 정부는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앞두고 논란을 종식시키기 위하여 연구용역을 통해 임시정부의 수립일을 11일로 변경했다. 하지만 당시 임시정부 수립일 변경에 관한 여론조사를 실시하지 않고, 변경 사유도 제대로 홍보하지 않은 탓에 어떤 근거에 의해 임시정부 수립일이 갑자기 변경됐는지 아는 이가 많지 않다. 

더구나 변경된 날짜(4월11일)도 역사적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 것 같다. 4월11일은 신한청년당을 중심으로 한 독립운동가들이 상하이에서 상하이임시정부(대한민국임시정부)를 수립한 날이다. 이처럼 상하이임시정부로 보면 임정 수립일은 11일이 맞다. 하지만 1919년 3·1운동을 계기로 국내외에서 여러 개의 임시정부가 생겨났다. 국내에서는 신한민국 임시정부(4월17일, 평안도), 조선민국 임시정부(4월19일, 인천), 한성정부(한성임시정부, 4월23일, 서울)가 생겼다. 해외에서는 러시아에서 대한국민의회(노령임시정부, 3월17일,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 중국에서 우리들이 잘 알고 있는 대한민국임시정부(상하이임시정부, 4월11일, 상하이), 고려임시정부(4월15일, 지린성) 등이 탄생했다. 

이 중 실질적 조직 기반을 갖춘 곳은 노령임시정부와 상하이임시정부, 한성임시정부 세 곳이었고 나머지는 전단지 형태의 임시정부로 얼마 못 가서 소멸됐다. 독자적으로 수립된 세 곳의 임시정부도 대외적으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유일한 임시정부로서 정당성을 확보할 수 없었다. 세 곳의 임정 대표자들이 통합을 추진했다. 우여곡절 끝에 국내에서 13곳의 대표가 참여한 국민대회를 통해 수립된 한성임시정부의 정통성을 이어받고 그 내각을 그대로 승계하며, 대신 정부의 위치는 활동하기 편한 상하이에 두고, 명칭은 대한민국임시정부로 하며, 노령임시정부를 흡수하기로 합의했다. 이렇게 하여 1919년 9월11일 통합임시정부가 세워졌다. 통합임시정부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새로운 탄생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역사적 사실을 도외시하고 국민적 공론화 과정을 생략한 채 임시정부 수립일을 상하이임시정부의 수립일인 4월11일로 성급히 변경한 것이 올바른 결정인지 납득할 수 없다. 우리 민족의 유일한 통합임시정부가 탄생한 9월11일이 임시정부 수립일이라고 본다.

<윤주 | 매헌윤봉길의사 기념사업회 부회장>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