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문재인 대통령은 21일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 진전 상황에 따라서는 남·북·미 3국 정상회담으로 이어질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회에 참석, “이번 회담들과 앞으로 이어질 회담들을 통해서 우리는 한반도 핵과 평화 문제를 완전히 끝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남·북·미 정상 간 합의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분명한 목표와 비전을 가지고 있다”고도 했다.

문 대통령이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이 열리지 않은 상황에서 그 이후의 단계인 남·북·미 정상회담 구상을 밝힌 것은 이번 기회에 북핵 문제는 물론 한반도 평화 문제까지 해결해야 한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보인다. 한반도 문제의 최대 이해당사국인 남·북·미 정상이 함께 한반도 문제를 논의하는 자리는 반드시 필요하다. 북핵 문제는 한반도 위기의 주범이지만 한편으로 한반도 문제에서 자라난 곁가지 성격을 띤다. 비록 전쟁은 중지됐지만 불신과 적대로 맞선 비정상적인 정전체제가 모든 한반도 문제의 본질이다. 이를 명실상부한 평화체제로 바꾸기 전까지는 북핵이든, 재래식무기든 대결과 충돌을 피하기 어렵다.

다행히 한반도는 평화를 꿈꿀 수 있는 천재일우의 기회를 맞았다. 한반도 평화를 향한 문 대통령의 의지와 노력,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및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결단이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4개월가량 이어지고 있는 북한의 핵실험 및 탄도미사일 시험발사 등 전략도발 중단과 한·미 연합군사훈련의 기간 및 규모 축소는 한반도 평화를 위한 의미 있는 실험이다. 이를 더욱 발전시켜 영구적이고 불가역한 평화체제로 만들어가야 한다. 

한·중·일 3국이 3국 정상회의를 재개키로 한 것도 의미 있다. 남북 및 북·미관계 개선 작업이 주변국의 협조와 참여 속에서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위안부 문제로 소원해진 한·일관계 정상화와 동북아 협력체제 구축의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