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삼성서울병원이 그제 발표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환자 발생과 대응 내용은 부실하기 짝이 없다. 최첨단 의료시설과 유명 의료진을 갖춘 일류병원이 왜 메르스 2차 유행의 본거지가 되었는지 의문투성이다. 국민적 의혹을 풀고 정확한 메르스 대처를 위해 진실 규명이 이뤄져야 한다.

첫번째 의문은 병원의 대처가 적절했느냐이다. 병원 측은 회견에서 지난 5월30일 14번 환자의 메르스 감염 확인 후 의료진과 환자 등 수백명에 대해 필요한 격리 조치를 취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병원 의사인 35번 환자는 격리 통보를 받지 못했고, 고열 증상이 나타나자 스스로 자가격리를 했다. 그는 “병원 질병관리실 담당자에게 전화해 메르스 감염 가능성을 언급했더니 ‘그럴 리 없다’고 대답했다”고 말했다. 병원 측이 거짓말하는 것인지, 35번 환자의 기억이 틀린 것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어느 쪽이든 병원 측 감염병 대처가 허술했다는 사실은 같지만 어느 쪽이 틀리느냐에 따라 격리대상 규모는 큰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광고

8일 메르스 첫 10대 환자가 발생하고 무더기로 확진판정을 받은 환자가 나온 삼성서울병원 응급실 앞 (출처 : 경향DB)


삼성서울병원에 대한 보건당국의 특별대우 의혹도 규명돼야 한다. 이 의혹은 양측이 공개한 정보가 크게 다른 데서 비롯된다. 병원 측은 5월30일 의료진과 환자 등 893명을 격리조치했다고 밝혔으나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격리대상자는 6월2일 791명, 6월3일 1364명이었다. 삼성병원 측 격리대상자를 제외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 복지부는 35번 환자 발생 사실도 확진 후 이틀 늦게 공개해 은폐 의혹을 샀다. 이후 발병한 삼성병원 의료진 2명에 대해서도 확진 후 사흘이 지나서야 공개했다. 복지부는 “재검증이 필요했다”고 해명했다. 이는 다른 의료기관의 경우 의심환자 때부터 공개한 것과 달라 “삼성서울병원은 성역이냐”는 얘기마저 돈다.

메르스 2차 유행을 두고 제기된 보건당국과 삼성서울병원의 유착 의혹은 어물쩍 넘길 일이 아니다. 보건당국이 병원에 대한 관리를 포기한 순간 격리대상이 자유롭게 대규모 행사장을 방문하거나, 타 병원을 돌아다녔기 때문이다. 2차 유행으로 메르스 지역사회 확산 우려가 커졌다는 분석은 여기서 나온다. 보건당국과 삼성서울병원은 구멍이 뚫린 방역체계를 바로잡고 격리 대상을 찾는 작업을 당장 시작하기 바란다. 유착 의혹에 대한 조사와 진실 규명은 해당 국가기관이 할 일이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