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민주통합당 내부에서 연일 쇄신론이 분출하고 있다. 어제만 해도 초선 의원 21명이 성명을 내고 현재의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대선 후보에게 당 운영에 대한 전권을 위임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앞서 주초에는 중진 의원들이 긴급 회동을 했고, 의원 40여명의 요구로 열린 의원총회에서는 대선 후보 경선 파행에 대한 지도부의 책임과 당 쇄신을 둘러싼 논쟁이 벌어졌다. 이대로 가다가는 대선 공간에서 존재감마저 실종될 수도 있다는 위기감의 발로인 것 같다. 말 그대로 만시지탄이다.


민주당이 처한 궁박한 현실 때문인지 초선들의 ‘거사’가 항명보다 희망의 싹으로 비춰진다. 이들의 움직임이 기득권 세력과 비주류 사이에 드리워진 갈등의 벽을 깨고 활로를 모색하는 기폭제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지금 국민들은 민주당만으로 정권교체와 새로운 대한민국의 건설이 확실할 것인지에 대해 의구심을 갖고 있다”는 성명서의 한 구절이 그러한 문제의식을 농축하고 있다. 얼마 전 우리는 민주당이 위기를 벗어나려면 스스로 강해져야 하고, 의원들이 적극 참여해야 하며, 그 종착점은 민생이 돼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다양한 이해로부터 자유롭고, 열정을 간직한 초선들이 그 물꼬를 터야 한다.


심각한 민주당 지도부 (출처: 경향DB)


이들의 요구가 아니더라도 혁신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다. 현 체제의 울타리나 다름없는 ‘친노’ 해체가 최우선이다. 대선 후보 경선 운영 등에서 무능을 드러낸 지도부의 2선 후퇴도 불가피하다. 이 두 가지는 당이 계파와 지역을 넘어 대선 승리를 목표로 소통하고 단결할 수 있는 최소한의 여건이라고 본다. 그런 맥락에서 초선들이 제안한 ‘열린 국민참여형 선대위’ 구성도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사회·경제적 약자들의 이해와 요구를 담아내는 등 민생 문제의 해결에 주력해야 한다. 그런 의지가 확고하다면 90여일이 짧지만은 않다.


민주당으로선 후보 경선이 막바지인 데다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의 출마선언도 임박한 만큼 분위기를 전환할 수 있는 적기다. 혁신이 ‘대선용 화장’이라는 일각의 비판을 넘어서도록 당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데 총력을 모을 일이다. 작금의 냉소와 무능을 방치하는 것이야말로 패배를 담보하는 최악의 시나리오다. 혁신은 아무리 어렵고 힘들어도 가야만 하는 길이다. 야권후보 단일화 논의도 그러한 토대 위에 설 때 ‘윈·윈 게임’을 만들어낼 수 있다. 민주당 혁신은 당의 존립뿐만 아니라 야권의 재구성에도 소중한 토대이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