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새누리당이 오늘 전당대회를 열어 12월19일 대통령 선거에 나설 후보를 선출한다. 모두 짐작하다시피 박근혜 의원의 당선이 확정적이다. 박 의원 경선캠프에선 득표율이 너무 높게 나와 ‘추대대회’로 비칠까 염려할 정도라고 한다. 관심은 오히려 박 의원이 후보수락연설에 어떤 메시지를 담을지에 쏠리고 있다.


어제 박 의원 캠프의 핵심 관계자는 “이번 경선 과정에 크게 세 번의 고비가 있었다”면서 비박근혜(비박)계 김문수·김태호·임태희 경선 후보의 보이콧 논란을 두 번째 고비로 꼽았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다 잘 (대응)해서 넘어갔다”며 안도했다고 한다. 실제 비박 주자 3인이 ‘돈 공천’ 파문과 관련해 경선일정에 불참한 것은 경선 전체를 파행으로 몰고 갈 만한 중대 사태였다. 당시 지도부와 후보들은 연석회의를 열어 당 차원의 진상조사위원회를 구성하고 의혹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황우여 대표가 책임진다는 데 합의했다. 지난 5일 상황이다.


새누리당 공천 금품수수 의혹 진상조사위원회 (출처: 경향DB)


내분이 봉합된 뒤 보름간 벌어진 일을 짚어보자. 진상조사위원회가 구성돼 5차례 회의를 열었지만 아무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돈 공천 의혹의 당사자인 현기환 전 의원과 현영희 의원은 출석을 거부하다 제명됐다. 조사받을 필요가 없는 당 밖 사람이 됐다는 얘기다. 4·11 총선 당시 공천작업에 깊이 관여한 권영세 전 사무총장도 출석 요구에 응하지 않았다. 급기야 지난 주말 임태희 경선 후보 측 김기홍 조사위원은 “당에 진상조사 의지가 있는지 의문”이라며 위원직을 사퇴하기에 이르렀다. 박 의원의 최측근이자 조사위원인 김재원 의원이 “(박근혜) 책임론을 얘기하는 건 정권을 민주통합당에 갖다주자는 것”이라고 했을 때부터 예견됐던 사태다. 도대체 이런 진상조사위는 왜 만들었는가. 역시 비박 주자들을 경선에 복귀시키기 위한 당근에 불과했던 것인가. 앞서 황 대표는 돈 공천 의혹과 관련해 자신이 책임져야 할 수준을 두고 “당이 인지했거나, 비호했거나, 연관이 있을 때”라며 선을 그었다. 사건이 개인비리로 드러나면 대표직을 유지하겠다는 의미다. 연석회의 합의사항은 모두 휴지조각이 돼버린 셈이다.


선거를 일컬어 민주주의의 꽃이라 한다. 새누리당은 이번 대선후보 경선이 이러한 정의에 부합했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 돈 공천 의혹이라는 희대의 스캔들을 규명하는 문제까지 ‘박근혜 후보 만들기’란 목표 아래 종속시킨 까닭이다. 진상조사위 파행은 새누리당의 한계를 다시 한번 드러내는 계기가 되고 있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