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교육부가 10일 현재 중학교 3학년이 치를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시안을 발표했다. 2021학년도 수능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통합사회·통합과학 과목이 신설된다. 탐구영역 선택과목 수는 2과목에서 1과목으로 줄어든다. 이번 개편시안의 핵심은 수능 전 과목 절대평가 도입 여부다. 교육부는 ‘일부 과목 절대평가’와 ‘전 과목 절대평가’라는 2개 시안을 제시했다. 1안은 현재 절대평가를 하고 있는 한국사와 영어에 더해 ‘통합사회·통합과학’ ‘제2외국어·한문’ 등 4개 과목을 절대평가하고 국어·수학·탐구 과목은 제외하는 방안이다. 2안은 7개 과목 모두를 절대평가하는 방안이다. 교육부는 여론수렴 절차를 거쳐 31일 최종안을 확정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하지만 대입제도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혼선을 우려해 ‘일부 과목 절대평가’에 무게를 싣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부가 수능 개편 시안을 발표한 10일 오후 서울 대치동 학원거리에서 학생이 바삐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교육부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기존 영어, 한국사 외에 통합사회·통합과학, 제2외국어/한문 등 4개 과목에 한해 절대평가를 실시하는 '1안', 7개 과목 모두 절대평가하는 '2안'을 놓고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공교육을 정상화하고, 줄세우기식 과도한 입시경쟁을 완화하려면 ‘전 과목 절대평가’를 시행하는 게 옳다. 4개 과목만 절대평가하면 국어·수학 등의 비중이 커지면서 사교육 풍선효과가 나타날 게 뻔하다. 대학들이 입시에서 국어와 수학의 반영 비율을 높일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이다. 또 상대 평가과목으로의 쏠림 현상으로 학교 현장에서 다양한 수업 진행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단계적으로 절대평가 과목을 확대하면 앞으로도 여러 차례 수능을 개편해야 한다. 이럴 경우 수능 개편 때마다 교육현장의 혼란을 가중시키고, 대입제도의 안정성도 해치게 된다. 한마디로 게도 잃고, 구럭도 잃게 되는 것이다.

전 과목 절대평가의 단점으로는 변별력 약화로 수능 중심의 정시 전형 운영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점이 꼽힌다. 하지만 동점자에 한해 대학에 원점수를 제공하거나 고교 2·3학년 선택과목 중 전공 적합성에 맞는 과목의 내신을 반영하도록 하면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대학들이 수시전형에서 ‘현대판 음서제’로 불리는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을 늘리는 것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학생부에 사교육을 유발하는 소논문이나 에세이 작성실적 등을 기재하지 못하도록 하고, 학종의 공정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교육부는 전 과목 절대평가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보완책 마련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수능 개편과는 별개로 공교육 수업의 질을 높이는 대책 마련도 절실하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