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에볼라 공포가 지구촌을 엄습하고 있다. 세계 각국이 에볼라 바이러스 차단을 위해 전전긍긍하고 있고 세계보건기구(WHO)는 비상사태 선포를 검토하고 있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등장한 지 40여년 되었지만 아직까지 예방백신이나 치료제가 없다. 치사율이 70%에 이르는 무서운 전염병이 다시 창궐한다는 소식에 전 세계가 공포감을 느끼는 것은 당연하다.

글로벌 시대에 우리나라라고 해서 안전지대가 될 수 없음은 물론이다. 이번에 발병한 곳은 서아프리카 중에서도 비교적 인적 왕래가 많은 기니·시에라리온·라이베리아 등 3개국이고, 여기서 번져나가는 전파속도가 WHO의 통제 범위를 벗어날 만큼 빠르다고 하니, 그 어느 때보다 빈틈없는 방역체계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정부가 어제 외교부, 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 회의를 거쳐 에볼라 종합대책을 내놓은 것도 이런 상황인식에 따른 것이다.

정부는 대책에서 에볼라 발생 3국에서 들어오는 여행객에 대한 검역과 국립검역소 및 해외공관을 통한 모니터링 강화 등의 방안을 내놓았다. 지난 4월부터 에볼라 대책반을 운영해 발병 지역에서 들어온 21명을 추적 조사한 결과도 공개했다. 적어도 아직 에볼라 바이러스가 상륙한 흔적은 없으니 안심해도 좋다는 뜻이다.

인천공항 검역 강화 에볼라 출혈열 사망자가 세계적으로 800명을 넘어선 4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입국장에서 공항 직원이 입국하는 승객의 체온을 측정하고 있다. _ 연합뉴스


사실 전염병이라고 해서 무턱대고 겁부터 집어먹는 것은 사태를 악화시킬 뿐 문제 해결에 도움이 안된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숙주와 감염경로가 뚜렷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최소한 공기로 전염되지는 않는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환자의 혈액이나 침, 땀 등 분비물에 직접 접촉하지 않으면 감염 위험이 없다는 것이다. 에볼라 바이러스가 과거 세계적으로 유행했던 신종인플루엔자와 달리 전파력이 떨어지는 이유다. 사정이 이런데도 아프리카에서 오는 사람이라고 무조건 입국을 막거나 격리조치해야 한다는 식의 주장을 편다면 이성을 잃은 인권침해적 발상이라는 지적을 피할 수 없다.

보건당국은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방역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만에 하나 환자가 발생하는 상황에 대비해 격리 치료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출 필요도 있다. 하지만 국경을 소리없이 넘나드는 바이러스를 차단하려면 당국의 노력만으로는 부족하다. 민간에서도 에볼라 발생 3국 방문은 당분간 삼가는 게 바람직하며, 불가피한 사정으로 인접국가를 거쳤을 때도 당국에 신고하고 검역에 임하는 등 협조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전염병에 관한 한 개인의 건강이 곧 나라의 안전이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