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검찰이 지난 26일 이명박 전 대통령의 사위인 이상주 삼성전자 전무를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이 전무는 2008년 이 전 대통령 취임 전후 한 인사로부터 금융기관장 취업 청탁과 함께 10억원대의 불법자금을 수수한 데 관여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이번 건은) 자리와 관련한 불법자금 수수에 관한 수사”라면서 “(검찰이 돈을 준 사람에 대한) 조사 없이 수수자(이 전무) 사무실을 압수수색하겠느냐”며 혐의 입증을 자신했다. 대통령의 매관매직 혐의라는 초유의 사태에 그저 참담할 뿐이다.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수수에서부터 삼성의 다스 소송비 대납 등 이 전 대통령의 비위는 손으로 꼽기도 어려울 정도이다. 당시 보좌진과 측근의 진술로 받고 있는 혐의의 상당부분은 이미 입증돼 있다. 친형 이상득 전 의원과 아들 시형씨 등 가족들이 줄줄이 수사 선상에 올랐다. 그런데 이번에는 사위를 통해 금융기관장 자리까지 돈으로 판 정황이 나왔다니 도무지 믿기지 않는다. 지금까지 대통령이 연루된 권력형 비리는 종종 있었지만 인사권을 이용해 금품을 챙긴 사례는 없었다. 숱한 도덕적 결함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대통령으로 뽑아준 시민을 무시하지 않고서는 결코 할 수 없는 작태이다. 여기에 지난 10년간 특혜 논란이 끊이지 않은 잠실 제2롯데월드 고도제한 해제를 이명박 정부 청와대가 주도했음을 보여주는 문건까지 지난 26일 공개됐다. 그 대가로 또 무엇을 받았을지 알기조차 두려워진다.
그런데도 이 전 대통령은 반성은커녕 반전을 노리고 있다. 사위가 검찰에 불려가던 날 그는 천안함기념관을 방문한 뒤 “천안함 폭침의 주범에게 국빈대접하는 이 나라의 현실이 부끄럽다”며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의 방남을 허용한 정부를 비판했다. 보수세력을 결집해 법의 심판을 모면해보려는 얄팍한 수가 틀림없다. 이르면 다음주 이 전 대통령이 검찰에 소환될 것으로 보인다. 이 전 대통령은 더 이상 변명과 정치보복 타령을 중단하고 시민 앞에 깨끗이 사죄하기 바란다.
'정치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적]워커힐의 북한 손님 (0) | 2018.02.28 |
---|---|
[이대근 칼럼]평창 이후, 그 불확실성의 미학 (0) | 2018.02.28 |
[사설]박근혜 30년 구형, 준엄한 심판이 뒤따라야 한다 (0) | 2018.02.28 |
[정동칼럼]보편주의 재인식 (0) | 2018.02.28 |
[기고]민주주의의 뿌리, 대구 2·28 운동 (0) | 2018.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