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으로부터 대선자금 2억원을 받았다는 의혹을 사고 있는 홍문종 새누리당 의원이 어제 검찰에 출석했다. 성 전 회장은
숨지기 전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2012년 대선 때 홍문종 의원에게 2억원을 현금으로 줬다”고 밝힌 바 있다. 그가 남긴
메모에도 ‘홍문종 2억’이라는 문구가 적혀 있었다. 대선 당시 새누리당 선대위 조직총괄본부장을 맡았던 홍 의원은 그러나 “단
1원이라도 받았다면 정계를 은퇴할 것”이라며 의혹을 부인해왔다. 검찰에 출석하면서도 “(2억원을 받은 일이) 없다. 전혀
문제없다”고 말했다. 검찰은 망인(亡人)과 홍 의원 중 누가 진실을 말하는지 밝혀내야 할 것이다.
‘성완종 리스트’에 등장하는 인사가 검찰 포토라인에 선 것은 홍준표 경남지사와 이완구 전 국무총리에 이어 홍 의원이 세 번째다.
그런데 검찰의 분위기가 앞서 두 사람을 소환할 때와는 사뭇 다르다고 한다. 검찰은 홍 지사와 이 전 총리가 출석하기 이틀 전
실명을 밝히며 소환 통보 사실을 공개했다. 이번에는 달랐다. 소환 하루 전 “서면조사를 받았던 리스트 속 정치인 6명 중 1명”을
불렀다고만 밝혔다. 취재기자들이 대상자가 홍 의원임을 파악하고 확인을 요구해도 끝내 ‘공식’ 확인은 하지 않았다고 한다.
납득하기 힘든 저자세다. 홍 지사는 친박근혜계 실세가 아니고 이 전 총리도 ‘전직’에 불과하지만 홍 의원은 ‘살아있는 권력’이어서
그런 것인가.
이완구·홍준표 관련 수사 쟁점 (출처 : 경향DB)
검찰은 홍 의원과 유정복 인천시장, 서병수 부산시장 등 6인에게 서면질의서를 보내면서 “수사의 (마무리) 단계로 보지 말고 수사의 기법으로 이해해달라”고 한 바 있다. 수사 의지를 믿어달라는 취지였다. 하지만 일련의 행태에 비춰볼 때 더 이상의 성과를 기대하기는 난망인 듯싶다. 오히려 ‘메르스 대란’ 와중에 박근혜 대통령 캠프의 대선자금 의혹을 해소해주려는 의도가 아닌지 의심스럽다. 실제로 검찰이 다음주 중 성완종 리스트 수사결과를 발표하며 수사를 끝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는 모양이다. 그러나 검찰이 면피성 소환이나 통과의례성 서면조사로 어물쩍 넘어갈 수 있으리라 생각하면 오산이다. 이미 밝힌 바와 같이 대선자금 의혹은 억지로 덮는다고 덮이지 않는다. 대선자금은 ‘화약고’와 같아서 작은 불씨에도 삽시간에 큰불이 붙기 십상이다. 특별검사에게 사건을 넘기는 수모를 또다시 겪고 싶지 않다면 치밀하고 엄정하게 수사하는 수밖에 없다.
'정치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황교안 후보자 “청문회에서 모든 것 밝히겠다”더니 (0) | 2015.06.09 |
---|---|
[기고]지도층 부정부패에 던지는 국제사회의 교훈 (0) | 2015.06.08 |
[사설]대통령의 갈등 조장과 여야의 초당 협력 (0) | 2015.06.07 |
[사설]황교안 후보자, 병역 의혹 해명 못하면 총리 못한다 (0) | 2015.06.05 |
[김재중의 로그인]황교안의 애국가와 찬송가 (0) | 2015.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