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에 대한 후원금 회계 처리 의혹이 제기 되고 있는 1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1439차 정기수요시위에서 참가자들이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의기억연대(정의연)를 둘러싼 논란이 열흘 넘게 이어지고 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이용수 할머니의 의혹제기에서 시작된 기부금 사용처 논란이 회계처리 부실에 할머니들의 쉼터 매입 문제로까지 번졌다. 정의연의 전신인 정대협(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은 2012년 현대중공업이 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해 10억원을 지정기탁하자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쉼터(평화와 치유가 만나는 집)를 매입해 운영했다. 2013년 경기 안성시 금광면의 2층 주택을 7억5000만원에 매입했는데 주변 시세보다 두 배 이상 비쌌다고 한다. 정의연은 이 쉼터를 지난달 매입가보다 3억원 싼 4억2000만원에 매각했다. 비싸게 사서 헐값에 판 셈이다.  

정의연 이사장을 지낸 윤미향 더불어시민당 당선인은 18일 “10억원으로 마포의 어느 곳에서도 집을 살 수 없어 안성까지 오게 됐다”고 했다. 쉼터를 시세보다 비싸게 매입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비싸게 매입한 것은 아니라고 알고 있다”면서도 “상황이 시급해 세밀하게 검토 못했던 점은 있다”고 했다. 윤 당선인의 이런 해명은 의혹을 풀기에 미흡해 보인다. 2013년 부동산 시세를 보면 10억원이면 마포 일대에서 얼마든지 집을 구할 수 있었다. 더구나 쉼터 거래를 중개한 이는 윤 당선인의 지인인 이규민 안성신문 대표로, 이번 총선에서 민주당 후보로 당선됐다. 건물을 비싸게 팔아 차익을 거둔 사람은 이 당선인의 지인이다. 무엇보다 엄격한 투명성을 요구받는 시민단체가 돈이 오가는 거래를 이토록 안이하게 해왔다는 게 믿기지 않는다. ‘주먹구구식 운영’의 오류 차원을 넘어 고의성이 의심될 정도다.

민주당 일각에서는 윤 당선인의 거취 문제까지 거론될 정도로 사태를 심각하게 보고 있다고 한다. 의혹은 풀리지 않고, 윤 당선인의 해명은 궁색하게 들리는 것이 사실이다. 사태가 여기까지 오게 된 것에 유감을 금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위안부 문제의 진실과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알리고, 세계적인 여성인권 운동으로 성장시킨 성과가 빛이 바래지는 않을까 걱정스럽다. 

일부 시민단체들이 윤 당선인 등을 검찰에 고발했으니 시시비비는 수사를 통해 가려질 것이다. 하지만 검찰수사를 수동적으로 기다리는 식의 태도는 곤란하다. 정의연과 윤 당선인은 그 전에 한국공인회계사회를 통한 검증이 의혹을 털어낼 수 있도록 최대한 협조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책임질 일이 있다면 피하지 말아야 한다. 명심할 것은 ‘위안부운동’이 정의연만의 전유물이 아니라 시민들의 광범위한 지지에 의해 쌓아온 공동의 성과라는 점이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