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집우이(執牛耳), ‘쇠귀를 잡다’라는 말이 있다. 춘추시대 제후들은 맹약을 체결할 때 소를 잡아 그 피를 돌려가며 입술에 바르는 삽혈의식을 거행했다. 맹약을 어길 경우 그 소처럼 피를 흘리며 죽어도 좋다고 맹세하는 것이다. 소의 귀를 잘라 피를 받고 쟁반 위에 올려놓으면 맹약을 주도한 이가 가장 먼저 쇠귀가 든 쟁반을 잡는다. 여기에서 유래하여 실권을 장악한 맹주가 되는 것을 두고 쇠귀를 잡는다고 표현해 왔다.
일러스트_김상민 기자
그런데 왜 하필 귀일까? 소의 상징은 역시 뿔이니, 쇠뿔을 도려내어 피를 흘리는 퍼포먼스가 더 강한 효과를 거둘 수 있지 않았을까? 18세기 문인 홍양호는 이런 의문을 던지고 추정을 이어간다. 단단하게 위를 향해 있어서 힘으로 들이받기를 능사로 삼는 뿔은, 언제고 더 강한 존재를 만나면 꺾이고 만다. 그러나 부드럽게 아래로 드리운 귀는 남의 말 듣기를 본분으로 삼고 힘보다 지혜에 의존하므로 오래 갈 수 있다. 춘추시대의 패자(패者)들 역시 부드러움과 지혜로 장기적인 승리를 도모했기에 뛰어난 업적을 남길 수 있었던 것이다.
물론 뿔이 없다면 귀는 힘을 지닐 수 없다. 춘추시대 패자들은 절치부심 실력을 다져 이미 남을 제압할 만한 뿔을 지닌 이들이었다. 강력한 무위를 갖추었기에 그들의 포용과 관대함이 빛을 발할 수 있었다. 홍양호는 자신이 사는 우이동(牛耳洞)이 삼각산(三角山) 아래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하였다. 험준하게 솟은 쇠뿔 같은 산이 있기에 텅 비어 만물을 품을 수 있는 쇠귀 같은 골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홍양호는, 멀리까지 복속시키는 무위와 모든 것을 포용하는 온유함을 겸비한 군자, 그 삶의 지향을 떠올린다.
강한 나라를 위한 염원으로 강한 지도자가 각광받는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우리는 다시, 무소불위의 힘을 믿고 여기저기 뿔을 들이미는 이를 상대해야 하는 곤혹스러운 외교 현장을 목도하고 있다. 힘의 불균형을 감내한 채 북핵과 FTA 등의 현안에서 실리와 명분을 챙기는 접점을 찾기란 실로 지난해 보인다. 시간을 두고 쇠뿔과 쇠귀를 겸비해 가는 일, 미련해 보이지만 다른 길은 없다. 여전히 경청과 설득을 통해 협력을 이끌어내는 능력이야말로 오래가는 지도자의 미덕이다. 강하기만 한 것은 결국 꺾이고 만다. 이 역시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송혁기 |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일반 칼럼 > 송혁기의 책상물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심과 즐거움 (0) | 2017.12.06 |
---|---|
[송혁기의 책상물림]조그만 노란 리본 (0) | 2017.11.22 |
지기지우를 꿈꾼다면 (0) | 2017.10.25 |
이미지에 속지 않으려면 (0) | 2017.10.11 |
구할 것과 구하지 않을 것 (0) | 2017.09.20 |